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심원창생기[深源蒼生起] 심원(深源)은 진() 나라 은호(殷浩)의 자()이다. 은호가 누차 조정의 부름을 받고도 나아가지 않다가 심원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이 창생을 어떻게 해야 한단 말인가.[深源不起 當如蒼生何]”라는 간곡한 요청을 받고서 소명(召命)에 응해 양주 자사(揚州刺史)와 중군장군(中軍將軍)이 되었는데, 뒤에 환온(桓溫)의 참소를 받고 서인(庶人)으로 축출되고 나서 하루 종일 공중에다 그것 참 아무리 생각해도 괴상한 일이다.[咄咄怪事]’라는 네 글자만 손가락으로 계속 쓰곤 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晉書 卷77 殷浩傳>

심위형소역[心爲形所役]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있는 문구인데, 마음이 육체의 사역(使役)을 당하여 본심을 지키지 못하고 생활에 부리어진다는 말이다.

심유유봉[心猶有蓬] 장자(莊子)가 자기 친구인 혜자(惠子)에게 말하기를 자네[夫子]에게는 아직도 막힌 마음이 있구려.[夫子猶有蓬之心也夫]”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逍遙遊>

심은후[沈隱侯] 심은후는 양() 나라 때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심약(沈約)을 이른다. ()은 그의 시호이다. 심약은 일찍이 양 고조(梁高祖)의 노염을 사자 이를 몹시 두려워한 나머지 그것이 병이 되어 끝내 죽고 말았다. <梁書 卷十三>

심응봉[心應捧] () 나라 서시(西施)가 미인이었는데, 가슴이 아파서 가슴을 움켜쥐고 찡그리니 그 태도가 더욱 예뻤으므로 이웃의 못난 여자가 그것을 모방하여 저도 가슴 아픈 척하고 움켜쥐고 찡그리니 더 못생겨 보였다 한다.

심인[心印] 언어와 문자에 의하지 않고 불타의 내심(內心)을 증명하는 것이라는 뜻의 선종(禪宗)의 용어이다.

심인사[沈麟士] 남조(南朝) 때의 은사(隱士). 그는 여러 사람의 추천을 뿌리치고 늙도록 독서에 힘썼으며, 일찍이 흑접부를 지어 자기의 뜻을 부치었다. <南史 沈麟士傳>

심인해일용[深仁諧日用] 주역(周易) 계사(繫辭)인자(仁者)는 역()을 인()이라 하고, 지자(知者)는 지()라 하고, 백성들은 날마다 그것을 쓰면서도 알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