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여라[女羅] 소나무 겨우살이.

여람[呂覽] 여씨춘추(呂氏春秋)를 말한다. 여불위가 진나라 상국으로 있을 때 심혈을 기우려 만든 일종의 백과사전이다. 그가 거느린 3천여 명의 식객들로 하여금 그들이 갖고 있던 견문과 학설 및 설화를 모아 편찬한 것이다. 처음 편찬할 때에는 팔람(八覽), 육론(六論), 십이기(十二紀)로 되어 있어 이 책의 이름을 여람(呂覽)이라고 했으나 후에 십이기(十二紀), 팔람(八覽), 육론(六論)으로 그 순서가 바뀌었다. 이 책의 편찬 목적은 십이기의 마지막 편인 서의편(序意篇)사람들을 통해서 자연의 이치를 알고, 인륜 규범을 깨닫고 실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밝혔다. 12기는 맹춘(孟春), 중춘(仲春), 계춘(季春), 맹하(孟夏), 중하(仲夏), 계하(季夏), 맹추(孟秋), 중추(仲秋), 계추(季秋), 맹동(孟冬), 중동(仲冬), 계동(季冬)의 각 5편 씩과 서의편(序意篇)을 합한 61편과, 팔람(八覽)은 효행(孝行), 신대(愼大), 선식(先識), 심분(審分), 심응(審應), 이속(離俗), 시군(恃君)의 각 8편과 유시(有始)의 각 7편 씩을 합하여 63편 및 육론의 개춘(開春), 신행(愼行), 귀직(貴直), 불구(不苟), 사순(似順), 사용(士容)의 각 6편 씩의 36편을 합하여 여씨춘추는 모두 160편으로 되어있다. 또한 유가(儒家), 법가(法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음양가(陰陽家), 병가(兵家), 농가(農家) 등 제자백가(諸子百家)의 학설에 대해서도 기술하고 있다.

여랑걸[女郞乞] 여랑은 누구인지 분명하게 알 수는 없으나 영험이 있는 소녀의 혼신을 뜻한 것으로, 한유(韓愈)의 침주기우(郴州祈雨) 시에 여랑의 혼신께 비를 비노니, 구운 고기 제수 조촐코도 많아라.[乞雨女郞魂 炰羞潔且繁]”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韓昌黎集 卷九>

여랑목양[如狼牧羊] 늑대가 양을 기르는 격이라는 뜻으로, 탐관오리(貪官汚吏)가 백성을 착취(搾取)함을 비유한 말이다.

여랑산석[女郞山石] 산석의 글귀란 바로 한유(韓愈)의 산석(山石) 시를 말하고, 여랑(女郞)의 시란 곧 여인같이 온순한 풍의 시를 뜻한다. () 나라 때의 시인 원호문(元好文)의 논시절구(論詩絶句)정이 있는 작약은 봄 눈물을 머금었고 기력 없는 장미는 저녁 가지가 누웠다(이상은 송나라 진관(秦觀)의 시임) 하니, 이를 한퇴지의 산석 시에 대조해 보면, 이것이 여랑의 시임을 비로소 알리라.[有情芍藥含春淚 無力薔薇臥晩枝 拈出退之山石句 始知渠女郞詩]”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즉 송() 나라 진관(秦觀)의 시를 한유의 산석 시와 비유하면 한유의 시는 장부에 해당하고, 진관의 시는 여랑에 해당한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韓昌黎集 卷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