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여룡수[驪龍睡] 여룡, 즉 흑룡(黑龍)이 잠들어 있을 때에 턱 아래에 있는 구슬을 훔쳐 온 사람의 이야기가 장자(莊子) 열어구(列御寇)에 실려 있다.

여우렴[呂友濂] 우렴의 이름은 동식(東植)인데,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거쳐 예조 참판에 이르렀고, ()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적이 있다.

여우회[呂友晦] 여우회의 이름은 동근(東根)인데 일찍이 영천 군수(榮川郡守)를 지냈다.

여원[戾園] 무제의 태자가 죽은 뒤에 시호[]를 여태자(戾太子)라 하고, 뒤에 그 무덤을 여원(戾園)이라 하였다.

여원[戾園] 여태자의 손자인 선제(宣帝)가 즉위한 다음, 태자의 시호를 여()라 하고, ()을 두었으므로 여태자의 묘를 가리킨다.

여원분서장벽실[慮遠焚書藏壁室] 진 시황(秦始皇)이 서적을 불태우는 것을 염려하여 책을 벽 속에 넣어 두었음을 말한 것이다. 공등(孔騰)의 자는 자양(子襄)인데 진 나라 법이 엄함을 염려하여 상서(尙書효경(孝經논어(論語)를 공자가 살던 옛집 벽 속에다가 넣어 두었다. <孔子家語> 이것을 뒤에 한 문제(漢文帝) 때에 노 공왕(魯恭王)이 공자의 옛집을 헐다가 찾아내니 여기에서 나온 상서(尙書)고문상서(古文尙書)’라 하며, ()의 박사(博士)였던 복승(伏勝)은 진 나라가 책을 불태우자 벽 속에 상서(尙書)를 넣어 두었는데, 뒤에 난리가 나서 피난을 갔다가 한() 나라가 천하를 평정하자 복승은 그 책을 찾아냈는데 수십 편이 없어지고 다만 29편을 얻었다. <史記 卷一百二十一 儒林列傳> 이것을 금문상서(今文尙書)’라 한다.

여월계[餘月計] “날로 헤아리면[日計] 부족하여도 달로 헤아리면 [月計]로 남는다.”는 옛말이 있다.

여월성쇠[與月盛衰] 구설(舊說)소라가 구슬을 잉태하는 것이 마치 사람이 아기 밴듯하므로 방태(蚌胎)하는데, 그 소라의 구슬은 달과 함께 찼다 줄었다 한다.”라고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