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연화세계[蓮花世界] 불교에서 말하는 이상 세계로 화엄세계(華嚴世界) 또는 극락세계(極樂世界)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연화풍[楝花風] 음력 3월 곡우(穀雨) 절기의 마지막 화신풍(花信風). 이를 고비로 하여 봄은 다 가고 여름이 온다. <東皐雜錄>

연환[煙鬟] 푸른 산봉우리를 말한다. 소식(蘇軾)의 능허대시(凌虛臺詩)떨어지는 햇빛 푸른 벼랑을 감싸고 저녁 구름 연환에 젖어 있네.”라고 한 글귀가 있다.

연환지해[連環之解] () 나라 임금이 틈도 없는 가락지[連環]를 조() 나라에 보내면서 이것을 풀어 보라 하였다. 여러 사람들은 어쩔 줄을 모르는데, 왕후(王后)는 망치를 가지고 그것을 쳐서 깨뜨리고서, 진 나라 사신(使臣)에게 연환을 이렇게 풀었다고 전하라 하였다. 진 나라에서는 그의 지혜에 탄복하였다.

연환체[連環體] 시의 마지막 구절을 다음 시의 첫 구절로 하여 짓는 시를 말한다. 회문시(廻文詩).

연횡[連橫] 연횡은 강한 자와 약한 자가 결탁하는 것을 말한다. 합종연횡은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최후로 남은 일곱 나라 가운데 진()나라가 가장 강하였고 나머지는 6국은 약했는데, 서쪽의 강국인 진()나라에 대항하기 위해 남북으로 약한 6국을 동맹시킨 소진(蘇秦)의 외교 전략을 합종이라 하고, 소진이 피살된 후 장의(張儀)가 이들 6국을 동서로 묶어 진나라를 섬기게 한 외교 전략을 연횡이라 한다.

연횡책[連衡策] 전국시대 6국이 개별적으로 진나라를 상국으로 섬기게 하던 정책을 이른다.

연희[燕姬] 가무(歌舞)를 잘하기로 예로부터 유명했던 연() 지방의 여자를 말한다.

연희아[捐羲娥] 한유(韓愈)의 석고가(石皷歌) 어느 구절에 서쪽으로 간 공자가 진 나라엔 가지 못해, 별들만을 따담고서 해와 달은 버렸다네.[孔子西行不到秦 掎摭星宿遺羲娥]”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