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삼도부[三都賦] () 나라 때의 문장가인 좌사(左思)10년 걸려서 지었다는 촉도부(蜀都賦), 오도부(吳都賦), 위도부(魏都賦)를 가리키는데, 처음에는 아무도 알아주지 않다가 황보밀이 서문을 써 주자 천하에 명문장으로 회자(膾炙)되어 사람마다 이것을 베낌으로 인하여 낙양(洛陽)의 종이 값이 폭등했다고 한다. <晉書 左思傳>

삼도원[三桃苑] 반악(潘岳)은 진() 나라 사람으로 자()는 안인(安仁)이다. 일찍이 하양(河陽)의 원이 되어 곳곳에 복숭아를 심었다. 삼도(三桃)는 후도(候桃앵도(櫻桃호도(胡桃)를 말하는데 그의 한거부(閑居賦)삼도는 앵도와 호도의 다른 종류를 표했다.”라고 하였다. <晉書 潘岳傳>

삼독[三毒] 불가의 말이다. 하나는 탐독(貪毒)으로 탐람(貪婪)의 마음이고, 하나는 진독(瞋毒)으로 분에(憤恚)의 마음이고, 하나는 치독(癡毒)으로 우매(愚昧)의 마음이다. 대승의장(大乘義章)此三毒統攝三界 一切煩惱 能害衆生 有如毒蛇毒龍 故名爲毒이라 하였다.

삼독[三獨] 어사대부(御史大夫상서령(尙書令사예교위(司隸校尉)는 조회(朝會) 때에 모두 전석(專席)으로 앉기 때문에 삼독좌라 한다.

삼독좌[三獨坐] 후한(後漢) 선병(宣秉)이 어사중승(御史中丞)이 되었는데, 광무제(光武帝)가 특히 명하여 어사중승과 사예교위(司隸校尉)와 상서령(尙書令)이 회동(會同)하되 각기 전석(專席)으로 앉으라 하니, 경사(京師)에서 이르되 삼독좌(三獨坐)”라 하였다. <後漢書 宣秉傳>

삼동족용[三冬足用] () 나라 동방삭(東方朔)의 글에 나이 열둘에 글을 배워, 삼동(三冬) 공부에 문사(文史)를 족히 쓸 만하다.”는 말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