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주장이 천지를 삼키니

 

-60주장탄건곤 -

 

<수시>-----------------------------

부처와 중생은 본디 차이가 없는데 산하와 자기가 어찌 차등이 있겠느냐? 그러나 무엇 때문에 이 두 가지가 뒤섞여 있는 것이냐? 만일 화두를 잘 다스리고 굴리며 요새가 되는 길목을 꽉 틀어막는다면 조금도 실수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실수하지 않는다면 온 세상 어디에서라도 조금도 까딱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화두를 잘 다스리고 굴리는 것이냐?

 

<본칙>-----------------------------

운문스님이 주장자를 가지고 대중에게 설하였다.

주장자가 용으로 변하여 천지를 삼켜버렸으니, 산하대지는 어디에 있느냐?”

 

<>-------------------------------

주장자가 건곤을 삼키나니

복사꽃 지는 물결 말해 무엇하리

꼬리를 태운 놈도 구름 안개 못 잡으니

부레 말리는 놈 되었다 어찌 정신 잃을쏘냐

이로써 법문은 다하였거니

들었느냐, 못 들었느냐

깨끗하여 말쑥해야 하니

다시는 어지럽게 하지 말아라

일흔두 방망이도 가벼운 용서이니

백오십 방망이 쳐 용서해주기 어렵다

 

(갑자기 설두스님이 주장자를 들고 법좌에서 내려오니, 대중들이 모두 흩어졌다.)

 

-60拄杖呑乾坤 -

<垂示> 垂示云. 諸佛衆生本來無異. 山河自己寧有等差. 爲什麽卻渾成兩邊去也. 若能撥轉話頭. 坐斷要津. 放過卽不可. 若不放過. 盡大地不消一掜. 且作麽生是撥轉話頭處. 試擧看.

<本則> . 雲門以拄杖示衆云. 拄杖子化爲龍. 呑卻乾坤了也. 山河大地甚處得來.

<> 拄杖子呑乾坤. 徒說桃花浪奔. 燒尾者不在拏雲攫霧. 曝腮者何必喪膽亡魂. 拈了也. 聞不聞. 直須灑灑落落. 休更紛紛紜紜. 七十二棒且輕恕. 一百五十難放君. 師驀拈拄杖下座. 大衆一時走散.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