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명주[溟洲] 강릉(江陵)의 고호이다.

명주[明珠] 남의 시문(詩文)을 찬양하여 이른다. 한유(韓愈)가 노정(盧汀)에게 수답한 시에서 노정이 준 시 96()를 가리켜 나에게 밝은 구슬 구십 육 개를 주었다.[遺我明珠九十六]”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명주[明珠] 명주는 곧 야광주(夜光珠)로서 뛰어난 보배이다.

명주[明珠] 부처의 말에 중생들이 모두 옷 속에 보배인 명주가 있구나.”라고 하였으니, 그것은 사람마다 지니고 있는 불성(佛性)을 말한 것이다.

명주노방[明珠老蚌] 후한 때 공융(孔融)이 위강(韋康)의 아버지에게 준 편지에 명주(明珠)가 노방(老蚌)에서 나왔다.”고 한 데서 온 말로, 아버지보다 더 훌륭한 자식을 비유한 말이다.

명주방출태[明珠蚌出胎] 대합의 진주는 타인의 걸출한 아들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나라 공융(孔融)여위단서(與韋端書)’에서 최근에 늙은 대합 속에서 두 개의 진주가 튀어나올 줄은 생각지도 못하였다.[不意雙珠 近出老蚌]”고 하여, 그의 두 아들을 칭찬한 대목이 나온다.

명주암투[明珠闇投] 밤에 빛나는 구슬인 야광주(夜光珠)를 어두운 밤중에 집어 던진다. 지극히 귀한 보물도 남에게 예()를 갖추어서 주지 않으면 도리어 원한을 사게 됨을 뜻한다. 명주암투(明珠暗投)로도 쓴다.

명주암투[明珠暗投] 아무리 귀중한 보배라도 사람에게 증정하는 도리를 다하지 못하면 오히려 원망을 초래한다는 고사이다. 사기(史記) 추양열전(鄒陽列傳)명월주(明月珠)와 야광벽(夜光璧)을 길 가는 사람에게 무작정 던지면[暗投人於道路] 모두들 칼을 잡고 노려보기 마련이다.[臣聞明月之珠, 夜光之璧, 以闇投人於道路, 人無不按劍相眄者.]”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