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오악[五惡] 순자(荀子) 유좌(宥坐)에도 “5()에 도절(盜竊)이 참예하지 않는다.”라 하였다. 5악은 첫째 심달이험(心達而險), 둘째 행벽이견(行辟而堅), 셋째 언위이변(言僞而辯), 넷째 기추이박(記醜而博), 다섯째 순비이택(順非而澤)으로 되었다.

오악[五嶽] 다섯 개의 명산.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동쪽의 금강산(金剛山), 서쪽의 묘향산(妙香山), 남쪽의 지리산(智異山), 북쪽의 백두산(白頭山), 중앙의 삼각산(三角山)을 가리킨다.

오악[五岳] 오악은 동악 태산(東岳泰山)서악 화산(華山)남악 형산(衡山)북악 항산(恒山)중악 숭산(崇山)이다.

오악[五嶽] 중국의 다섯 명산으로, 숭산(嵩山)태산(泰山)화산(華山)형산(衡山)항산(恒山)을 말한다.

오악사독[五嶽四瀆] 다섯 가지 큰 산과 네 가지 큰 물을 가리키는데, 중국에서는 동악(東嶽)인 태산(泰山), 서악(西嶽)인 화산(華山), 남악(南嶽)인 곽산(霍山), 북악(北嶽)인 항산(恒山), 중악(中嶽)인 형산(衡山)을 오악이라 하였으며, 양자강(揚子江), 황하(黃河), 회수(淮水), 제수(濟水)를 사독이라 하였다.

오악유[五岳遊] () 나라의 고사(高士) 상장(向長)이 자녀들을 모두 결혼시키고 나서 집안일을 완전히 정리한 뒤에 이제는 더 이상 자신의 일에 상관하지 말라[勿復相關]고 분부하고는 마음 내키는 대로 떠돌아다니며 오악(五岳) 등을 유람하다가 생을 마쳤다고 한다. <高士傳後漢書 卷83 逸民列傳 向長>

오악타시종결원[五嶽他時終結願] 후한 상자평(向子平)이 건무(建武) 중에 자녀의 혼가(婚嫁)를 끝마치고 오악(五嶽) 명산에 구경나가서 돌아오지 않았다. <高士傳>

오안[五眼] 모든 법의 사리(事理)를 관조하는 5종의 눈. 곧 육안(肉眼)천안(天眼)혜안(慧眼)법안(法眼)불안(佛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