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오어[吳語] 오어(吳語)는 남방(南方)의 방언을 가리킨다.

오언[五言] ()()()()() 오덕(五德)에 맞는 말로, 즉 임금에게 간하는 말을 뜻한다.

오언성[五言城] 오언시(五言詩)에 통달했음을 비유한 말. () 나라 때 시인 유장경(劉長卿)이 오언시에 능하여 오언장성이라 한 데서 온 말이다. <唐書 卷一百九十六 秦系傳>

오언율시[五言律詩] 한시(漢詩)의 한 체. 여덟 구로 되어 있으며, 한 구가 다섯 자로 된 것을 오언 율시(五言律詩), 일곱 자로 된 것을 칠언 율시(七言律詩)라 한다.

오언장성[五言長城] 오언시(五言詩)를 잘 짓는 것이나 만리장성(萬里長城)은 보통 사람으로서는 바랄 수 없는 일임을 비유하는 말이다. () 나라 시인 유장경(劉長卿)이 특히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여 스스로 오언장성(五言長城)’이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新唐書 隱逸傳 秦系>

오연루의토만두[烏鳶螻蟻土饅頭] 사람의 죽음을 뜻한다. 장자(莊子)가 죽을 무렵에 제자들에게 후장(厚葬)을 하지 말도록 이르자, 제자가 말하기를 까마귀와 솔개가 선생님의 시체를 파먹을까 염려됩니다.”라고 하니, 장자가 말하기를 땅 위에 있으면 까마귀나 솔개의 밥이 되고 땅 속에 있으면 땅강아지나 개미의 밥이 되니, 저쪽에서 빼앗아다가 이쪽에 주는 것이 어쩌면 그리도 치우치는가.”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列禦寇>

오연루의하분별[烏鳶螻螘何分別] 장자(莊子)가 죽을 때에 제자들이 장사를 어떻게 할까를 물으니 갖다가 들에 버려라.”라 하므로 그러면 까마귀나 소리개의 밥이 됩니다.”라고 하니 땅 속에 묻으면 개미와 땅강아지의 밥이 된다. 어느 것의 밥이 되기는 일반이니, 까마귀의 먹을 것을 빼앗아 개미에게 준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다.”라고 하였다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