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원령[圓靈] 하늘. 사장(謝莊)의 월부(月賦)柔祇雪凝 圓靈水鏡이라 하고 이선(李善)의 주에 圓靈 天也라 하였다.

원례[元禮] 원례는 후한(後漢) 때의 고사(高士)인 이응(李膺)의 자이다. 그의 인정을 한번 받으면 용문(龍門)에 올랐다고 좋아할 만큼 높은 풍도와 명성을 떨쳤다. <後漢書 卷97>

원례객[元禮客] 고사(高士)를 방문하였음을 비유한 말. 원례는 후한 때의 고사 이응(李膺)의 자인데, 당시에 그의 접견(接見)을 받은 선비를 대단히 영광스럽게 여기어 등용문(登龍門)이라 일컬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六十七>

원로[鵷鷺] 원추새와 백로는 질서 있게 날므로 조관(朝官)의 항렬에 비유된다.

원로[鵷鷺] 원추새와 백로인데, 이 두 새의 의용(儀容)이 한아하여 조정에 늘어선 백관의 질서 정연함에 비유한다. 곧 조정의 관원을 가리킨다. 수서(隋書) 음악지(音樂志)원로가 항렬을 이루었다.”라 하였다.

원룡[元龍] 삼국시대 위() 나라 진등(陳登)의 자이다. 지모가 출중하고 해박한 지식을 지녔으며 광릉태수(廣陵太守)와 동성태수(東城太守)를 역임하면서 남다른 치적을 이루었다. 뜻이 원대하고 호방하여 개인적인 세상일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허사(許汜)가 유비(劉備)를 만나, 원룡이 호해의 기상만 넘친 나머지 자기를 대접해 주지 않고 무시했다면서 불평하자, 유비가 당신은 국사(國士)의 명성을 지닌 사람인 만큼 세상을 구할 생각을 해야 할 것인데, 그저 밭이나 집을 구하려고만 하는 등 취할 말이 없었으므로 원룡이 꺼린 것이다.[君求田問舍 言無可采 是元龍所諱也]”라고 대답한 고사가 전한다. <三國志 卷7 魏書 陳登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