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寄玉山[기옥산] 옥산께 부치다

 

- 繡香閣元氏[수향각원씨] -

 

秋淸池閣意徘徊[추청지각의배회] 가을 연못 누각 마음만 가 서성이다

向夜憑欄月獨來[향야빙난월독래] 밤 되어 난간에 기대니 달만 찾아와

滿水芙蓉三百本[만수부용삼백본] 물에 가득 벌어난 부용화 삼백 포기

送君從此爲誰開[송군종차위수개] 그대 보낸 후이니 누굴 위해 피우나

 

<寄玉山기옥산 / 옥산께 부치다 / 繡香閣수향각 元氏원씨>

 


수향각 원씨[繡香閣 元氏] 조선시대 여류시인으로 생몰연대와 자세한 행적은 알 수 없다. 조선조의 사족부인으로 추정되는 문인이다.

옥산[玉山] 이우(李瑀)의 호이다. 본관은 덕수(德水). 이름은 이위(李瑋) 또는 이후(李珝). 자는 계헌(季獻), 호는 옥산(玉山죽와(竹窩기와(寄窩)이다. 이원수(李元秀)의 아들이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동생으로, 어머니는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이다. 명종 22(1567) 진사(進士)에 합격, 비안현감과 괴산·고부군수를 거쳐 군자감정(軍資監正)까지 지냈다. (((()을 다 잘하여 4(四絶)이라 불렸다. 그림은 초충(草蟲사군자(四君子포도(葡萄) 등을 다 잘 그렸는데, 어머니의 화풍을 따랐다. 그가 초충을 그려 길에 던지면 닭이 와서 쪼았다는 일화가 있을 만큼 화훼초충(花卉草蟲)을 잘 그렸다고 한다. 아들 경절(景節)도 가법(家法)을 이어 서··금에 능하여 3절이라는 말을 들었다. 유작으로는 설중매죽도(雪中梅竹圖노매도(老梅圖수과초충도(水瓜草蟲圖포도도(葡萄圖) 등이 전하고 있다. 개인 문집으로 옥산시고(玉山詩稿)가 있으며, 초서 필적으로는 옥산서병(玉山書屛)이 전하고 있다.

지각[池閣] 못가에 있는 누각(樓閣). 연못 가까이에 있는 누각.

배회[徘徊] 목적 없이 거닒. 목적 없이 어떤 곳에서 이리저리 돌아다님. 거닐다. 왔다 갔다 하다. 망설이다. 주저하다. 결정을 내리지 못하다.

부용[芙蓉] 연꽃. 연꽃에 관한 중국의 기록은 시경(詩經) 정풍(鄭風)에 부거(芙蕖)라는 이름으로 나타난다. 그후 연을 하()라고 불렀고 별명으로 부용(芙蓉)이라고도 했다. 중국의 가장 오래된 사서(辭書)인 이아(爾雅)에 연()을 일러 뿌리는 우()이고, 밑동(, 수중경)은 밀()이고, 줄기는 가()이고, 잎은 하()이고, 꽃은 함담(菡萏)이고, 열매는 연()이고, 씨는 적()이고 씨[]의 한가운데가 의()이며 꽃을 가리키는 함담은 꽃이 피기 전의 봉오리를 지칭하고 꽃이 피고 나면 부용(芙蓉), 부거(芙蕖)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부용[芙蓉] 아욱과에 속한 낙엽 관목. 높이는 1~3미터로, 잎은 어긋나고, 가지에 짧은 털이 있다. 8~10월에 연한 홍색 꽃이 피며, 열매는 둥글고 털이 있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종차[從此] 이로부터. 이 뒤. 지금 이 시간부터. 이제부터. 여기부터. 지금부터. 이곳부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