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정위조[精衛鳥] 옛날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의 딸이 동해(東海)에 빠져 죽은 뒤 새로 화하였는데 이 새를 정위조라 한다. 이 새가 항상 서산(西山)에 가서 돌을 물어다가 동해를 메웠다는 고사가 있다. <山海經·太平御覽>

정위화학[丁威化鶴] () 나라 때 요동 사람 정령위(丁令威)가 죽은 지 천 년이 지난 뒤에 학으로 변한 것을 말한다. 정령위가 영허산(靈虛山)에서 도를 닦아 신선이 된 후 천 년이 지난 뒤에 학이 되어 요동에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아 시를 지었는데, 그 시에 새여 새여 정령위여, 집 떠난 지 천 년 만에 오늘에야 돌아왔네. 성곽은 의구한데 사람들은 아니로세. 어찌 신선 아니 배워 무덤이 총총하뇨.”라고 하였다. <搜神後記>

정유격[程遊擊]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에 온 명 나라 장수이다.

정유길[鄭惟吉] 자는 길원(吉元), 호는 임당(林塘)으로 의정까지 되었으며 74세의 나이로 죽었다.

정유상곡생표상[庭有桑穀生表祥] 덕을 닦아 요망한 물건을 없앴다는 뜻. 중종은 은() 나라 태무(太戊)이며, 상곡(桑穀)은 요괴스런 뽕나무. 은 나라 서울인 박() 땅에 이상한 뽕나무 두 그루가 뜰에 났는데, 아침에 나서 저녁이 되자 두 움큼이나 자랐다. 태무는 어진 신하 이척(伊陟)의 말을 듣고 두려워하여 덕을 닦으니, 이 나무는 곧 말라죽었으며, 은 나라는 다시 정치가 잘 되어 중흥(中興)하게 되었다 한다. <史記 殷本紀>

정읍[井邑] 정읍사(井邑詞)의 준말로 무고(舞鼓)에 맞추어 부르던 삼국 시대 속악(俗樂)의 창사(唱詞)이다.

정이[鼎彝] 솥과 같은 기물(器物)로 왕가(王家)의 종묘(宗廟사당(祠堂)에 상시 비치해 두는 의물(儀物)이니, 골동을 말한다. 옛날 국가에 공훈이 있는 사람들의 사적을 여기에 새겼었다.

정이[鄭丈] 정추만 지운(鄭秋巒之雲)의 자이다.

정이불박[精而不博] 정밀하기는 하지만 널리 알지는 못함을 말한다. 박이부정(博而不精).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