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정책국로 문생천자[政策國老門生天子] 국가의 정책을 좌지우지하는 국로(國老; 국가의 어른)와 자기들이 만들어낸 천자라는 뜻의 정책국로문생천자(政策國老門生天子) 고사성어이다.

정천산[定天山] 당나라 장수 설인귀(薛仁貴)가 화살 세 개로 적장 세 사람을 쏘아 죽이니, 적군이 패하여 천산(天山)을 평정하였다.

정첨윤[鄭詹尹] 굴원(屈原)이 복거부(卜居賦)를 지었는데 그 내용은 자신의 처신할 여러 가지 길을 태복(점장이) 정첨윤(鄭詹尹)에게 물었다.

정총[鄭摠] 여말 선초(麗末鮮初)의 문신(文臣). 호는 복재(復齋),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정충[精忠] 정충은 순결하고 충성스러운 신하를 가리킨다.

정충신[鄭忠信] 봉호는 금남(錦南). 자는 가행(可行), 호는 만운(晩雲), 본관은 나주(羅州), ()의 아들로 전라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조부 석주(錫柱) 때부터 병영(兵營)의 서리를 지낸 미천한 신분이었으나 지모가 뛰어나고 문무의 재주를 겸비하여 임진왜란 때는 권율(權慄)의 휘하에서 두각을 드러냈고 갑자년에 이괄(李适)의 반란을 진압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 1등이 되었으며, 정묘호란 때는 부원수로서 적과 싸우는 등 전후에 걸쳐 혁혁한 공을 세웠다. 광주의 경렬사(景烈祠)에 제향, 시호는 충무(忠武)이다.

정칙[正則] 올바른 법이라는 뜻으로 굴원의 본명이다.

정침[頂鍼] 정문침(頂門鍼)이라고도 하는데, 침구법(鍼灸法)에서 뇌문(腦門)으로부터 내려가는 침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