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제려칠국지난망[諸呂七國之亂亡] 여후(呂后)의 친속이 반란한 것에 대한 이야기로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등에 보인다.

제력어하유[帝力於何有] 태평(太平)을 노래한 것이다. () 임금 때에 정사가 잘 되어 천하가 태평하자, 한 노인이 땅을 치며 노래하기를 해 뜨면 나가서 밭을 갈고, 해 지면 들어와 쉬며, 우물 파서 물 마시고, 밭 갈아서 밥 먹고사는데, 임금의 힘이 나에게 미친 것이 어디 있느뇨.”라고 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제로도문진[齊魯徒問津] 공자가 천하에 도를 펴 보고자 돌아다니다가 자로(子路)를 시켜 밭을 갈고 있는 장저(長沮)와 걸닉(桀溺)에게 나루가 어디에 있는지 물어 본 것을 말한다. <論語 微子>

제릉[齊陵] 태조의 비 신의왕후(神懿王后)의 능으로, 개풍군(開豐郡) 상도면(上道面)에 있다.

제목[除目] 관원의 인사이동 명단.

제무[齊巫] 제 나라의 여악(女樂)을 가리킨다.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에 제나라에서 여악을 노 나라에 보내줌으로써 공자는 그만 떠나가 버렸다.”라고 하였다.

제문막주우[齊門莫奏竽] 누구도 그 앞에 가서 자랑할 수 없을 만큼 군신 상하가 즐기며 흥청대고만 있음을 뜻한다. 소진(蘇秦)이 제 선왕(齊宣王)에게 유세하기를 임치(臨淄)가 매우 부실(富實)하여 백성들 모두가 피리 불고 비파 타고……라고 하였다.

제물[齊物] 옳고 그름, 저쪽과 이쪽, 남과 나, 단명과 장수가 서로 구별이 없이 하나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전국 시대의 도가(道家)인 장주(莊周)는 저서인 장자(莊子) 가운데 제물론(齊物論)에서는 세상의 시비 진위(是非眞爲)에 대한 물론(物論)들을 평등한 견지에서 관찰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제물론[齊物論] 장자(莊子) 남화경(南華經)의 제일 첫머리에 있는 글이니, 만물은 평등하다는 뜻이다.

제물리[齊物理] 물리(物理)를 다 같게 본다는 것은 곧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의 이론을 가리킨 것이다.

제물소요[齊物逍遙] 장자(莊子)의 처음 두 편() 이름. 세속적 대소(大小) 물아(物我)를 초월한 달관을 말한다.

제물아[齊物我] 생사(生死), 수요(壽夭), 시비(是非), 득실(得失), 물아(物我), 유무(有無) 등 우주간의 일체 상대적인 관점을 타파하고 평등하게 보려는 도가(道家)의 제물(齊物) 사상을 언급한 것인데, 장자(莊子)의 제물론(齊物論)에 그 근본을 두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