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조생죽선[曹生竹扇] () 나라 원굉(袁宏)이 동양태수(東陽太守)로 나가는데 여러 사람이 전송하였다. 사안(謝安)이 갑자기 옆 사람에게서 부채 한 자루를 받아서 원굉에게 주며 이것을 전송하는 선물로 삼는다.”고 하니, 원굉이 곧 그것을 받으며 답하기를 마땅히 인풍(仁風)을 받들어 드날려서 저 백성들을 위로하겠소.”라고 하였다.

조생지편[祖生之鞭] () 나라 조적(祖逖)을 말한 것으로 남보다 앞서도록 격려하는 말로 쓰인다. <晉書 劉琨傳>

조생청계[祖生聽雞] 조생(祖生)은 진() 나라 때의 조적(祖逖)을 가리키는데, 조적은 본디 강개한 지절이 있었던 바, 일찍이 유곤(劉琨)과 함께 사주 주부(司州主簿)가 되어 한 이불을 덮고 같이 자다가 때아닌 밤중에 닭우는 소리를 듣고는 일어나 춤을 추며 비장한 기색을 보였던 데서 온 말인데, 밤중에 닭이 우는 것은 사변(事變)의 전조(前兆)라고 하기 때문이었다. <晉書 卷六十二>

조생편[祖生鞭] 조생은 진() 나라의 조적(祖逖)을 말한다. 유곤(劉琨)은 조적과 친구 사이로 조적이 조정에 발탁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다른 친구에게 편지를 보내어 내가 창을 베고 자면서 역로(逆虜)의 목을 효시(梟示)할 뜻이 있는데, 항상 조적(祖逖)이 나보다 먼저 채찍을 잡을까 두렵다.”고 하였는데, 후세에 남을 권면하는 고사로 사용하였다. <晉書 卷 62 劉琨傳>

조서[照犀] 옛날 온교(溫嶠)가 우저기(牛渚磯)란 곳에 이르니, 그 곳 물이 깊어서 밑을 볼 수가 없는데, 사람들은 그 속에 괴물이 많다고 하므로, 온교가 물소뿔을 태워서 비추자 그 괴물들이 환히 보였다고 한다.

조서[曹徐] 조는 위() 나라의 조식(曹植), 서는 후한(後漢) 건안 칠자(建安七子)의 하나인 서간(徐幹)을 가리킨다.

조서[徂署] 죄인 김처선(金處善)을 미워해서 처서(處署)를 고쳐 부르던 말이다.

조서모동[朝西暮東] 지조 없이 이익만 쫓아다니는 위인을 비유하여 풍자한 말이다.

조서산미궐[祖西山薇蕨] 서산은 백이(伯夷숙제(叔齊)가 고사리를 캐어 먹었다는 수양산(首陽山)으로, 곧 백이·숙제의 충절(忠節)을 조종(祖宗)으로 삼았음을 말한 것이다.

조서흑두[曹蜍黑頭] 아무런 공도 세우지 못하고 근근이 목숨만 유지해 나가는 사람들을 말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 품조(品藻)염파(廉頗)와 인상여(藺相如) 같은 인물은 천 년 전에 죽었어도 아직 살아 있는 것처럼 늠름한데, 조여(曹蜍)와 이지(李志) 같은 무리는 지금 살아 있어도 땅속에 묻힌 사람처럼 어둡기만 하다.”라는 말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