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존양[存養] 존심양성(存心養性)의 준말로, 본심을 보존하고 정성(正性)을 배양한다는 뜻이다. 맹자(孟子) 진심장(盡心章) 상편에 본심을 보존하고 정성을 배양하는 것은 하늘을 섬긴 것이다.”라고 하였다.

존왕필[尊王筆] 왕 높이는 붓은 존주양이(尊周攘夷)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을 달리 이르는 말이다. 곧 우리나라는 아직도 이미 멸망한 명 나라를 종주국으로 삼고 있다는 것이다.

존인자막량어모[存人者莫良於眸] 맹자(孟子) 이루 상(離婁 上)사람에게는 눈동자 만한 것이 없다. 마음이 바르면 눈동자가 밝고 마음이 바르지 못하면 눈동자가 흐리멍덩하다.”라고 하였다.

존자[尊者] 존자는 학문과 덕행이 뛰어난 불제자에 대한 칭호이다. 나한(羅漢)을 존자(尊者)라 칭하는데, 소승(小乘)의 성도자(成道者)로서 불(보살(菩薩)과 구별된다.

존장[尊章] 시부모를 말한다.

존존[存存] 존재함, 보존한다.

존주[尊周] () 나라를 높인다는 뜻으로 공자(孔子)의 춘추대의(春秋大義)에서 나온 말이다.

존지도어목격[存至道於目擊] 공자가 온백설자(溫伯雪子)를 만나서 말을 하지 않으니, 자로(子路)가 묻기를 온백설자를 만나기를 오랫동안 원하시더니 만나서는 왜 말을 하지 않습니까.”라고 하니, 공자가 답하기를 그 사람은 목격(目擊)만 하여도 도()를 알겠으니 말할 필요도 없다.”라고 하였다.

졸간즉유여[拙艱有餘] () 나라 반악(潘岳)한거부(閑居賦)’도가 있는 세상에는 내가 벼슬 못하고, 도가 없는 세상에는 내가 어리석지 못했나니, 어쩌면 그렇게도 교활한 꾀는 부족하면서, 졸렬하고 힘들기는 남보다 앞섰는고.[有道吾不仕 無道吾不愚 何巧智之不足 拙艱之有餘也]”라는 구절이 나온다.

졸무장사[拙舞長沙] 지역이 좁음을 뜻한다. 한 경제(漢景帝)의 아들인 장사왕 발(長沙王發)은 신분이 미천한 당희(唐姬)의 소생이라 하여 애당초 비습(卑濕)하고 가난한 나라인 장사에 봉해졌는데, 일찍이 제왕(諸王)들이 천자에게 내조(來朝)하여 헌수(獻壽)하고 가무(歌舞)할 적에 유독 장사왕은 옷자락을 벌리고 약간 손을 들기만 하므로, 좌우에서 모두 그의 춤이 졸렬함을 비웃자, ()이 괴이하게 여겨 그렇게 춤추는 까닭을 물으니, 장사왕이 대답하기를 ()은 나라가 작고 땅이 좁아서 회선(回旋)할 수가 없습니다.”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五十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