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차녀[姹女] 단약(丹藥)을 만드는 데 들어가는 수은(水銀)의 별칭이다.

차대[次對] 삼상(三相옥당(玉堂대간(臺諫) 등이 정무(政務)를 상주하던 일이다.

차대질[嗟大耋] 주역(周易) 이괘(離卦) 구삼효(九三爻)해가 기우는 것이 이()이니, 질장구 치고 노래 부르지 않으면 대질(大耋)을 탄식하게 되는지라, 흉하리라.”라고 하였는데, 이는 사람이 죽음을 맞이하는 때의 상황을 표현한 것이다.

차도[次道] () 나라 때 대장군 왕돈(王敦)의 주부(主簿)를 지냈던 하충(何充)의 자()이다.

차래불식[嗟來不食] () 나라 검오(黔敖)는 흉년에 밥을 지어서 길가에 왕래하는 굶주린 사람을 먹이는데 어느 한 사람이 굶주려서 기운 없이 오는 것을 보고 아아, 불쌍하다. 와서 먹어라.”라고 하니, 그 사람은 나는, ‘불쌍하다, 먹어라하는 밥을 먹지 않기 때문에 이 지경에 이르렀다.”라고 하면서 먹지 않았다.

차령[車嶺] 공주(公州)와 천안(天安) 사이에 있는 고개 이름이다. 인조(仁祖) 2년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켜 서울로 진입하자 왕이 백관을 이끌고 이 고개를 넘어 공주(公州)로 피신하였다.

차리야[遮梨夜] ()이라고 번역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