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학원유약[鶴猿有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산속에 은거해 살 생각을 하였다는 뜻이다. 육조(六朝) 때 송(宋) 나라의 공치규(孔穉圭)가 자신과 함께 북산(北山)에 은거하던 주옹(周顒)이 벼슬길에 나선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 “향초로 엮은 장막은 텅 비어 학은 밤마다 원망의 울음 울고, 산인(山人)이 떠나고 없어 원숭이는 놀라서 우는구나.”라고 하였다. <古文眞寶 後集>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그물에 갇힌 듯이 더 이상의 발전이 없다.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학이지지[學而知之] 배워서 앎.

학익진[鶴翼陣] 학익진은 학이 날개를 펴듯이 좌우로 길게 포위하는 진법(陣法)이다.

학일구[貉一丘] 한(漢) 나라 양휘(楊揮)의 말에 “예와 이제가 한 언덕의 담비와 같다.”고 하였으니, 동류(同類)란 말이다.

학자여우모성자여린각[學者如牛毛成者如麟角] 배우는 사람은 소의 털과 같이 많고, 이룬 사람은 기린의 뿔과 같이 드물다.

학자탁련[鶴觜拆蓮] 옛날 희극(戲劇) ‘학연화대(鶴蓮花臺)’에서 두 동녀(童女)가 연꽃 봉오리 속에 들어앉아 있다가 사람이 분장한 학이 나아가 주둥이로 쪼으면 동녀들이 깡충 뛰어나와 춤을 춘다. <樂學軌範>

학장부단[鶴長鳧短] 장자(莊子) 병무(騈拇)에 “오리 다리가 비록 짧아도 이어주면 걱정을 하고, 학의 다리가 비록 길어도 잘라주면 슬퍼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천성은 길어도 자를 것이 아니요 짧아도 이을 것이 아니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학장주[壑藏舟] 사물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바뀌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배를 골짜기에 감추어 두고 어살을 연못 속에 감추어 두면 든든하게 감추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밤중에 힘 있는 자가 그것을 짊어지고 달아날 수도 있을 것인데, 어리석은 자들은 그것을 알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반응형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공오궁[韓公五窮], 한관[漢關], 한관[扞關], 한관위의[漢官威儀], 한교악지위린[韓蛟鱷之爲隣]  (0) 2024.04.18
한거부[閒居賦], 한걸[寒乞], 한계승추[韓洎繩樞], 한고[漢錮], 한고연패[漢皐捐佩], 한곡편양휘[寒谷徧陽暉]  (0) 2024.04.17
한[豻], 한각반렴산[閑却半簾山], 한간마도[韓幹馬圖], 한강백[韓康伯], 한강투석[漢江投石]  (0) 2024.04.16
학창의[鶴氅衣], 학철부어[涸轍鮒魚], 학포번[學圃樊], 학학[嗀嗀], 학해[學海], 학화웅담[學和熊膽]  (0) 2024.04.15
학저[鶴邸], 학적천[鶴吊阡], 학전주[鶴錢州], 학정[鶴頂], 학제[學製], 학주[鶴柱], 학주이[壑舟移]  (0) 2024.04.12
학서[鶴書], 학수경[鶴殊脛], 학습수비[學習數飛], 학야[鶴野], 학여불급[學如不及], 학여전[鶴與錢]  (0) 2024.04.11
학무[鶴舞], 학부[學蔀], 학부[涸鮒], 학사[壑蛇], 학사연[學士宴], 학사제염[學舍虀鹽], 학상선[鶴上仙]  (1) 2024.04.11
학교[鶴翹], 학구소붕[鷽鳩笑鵬], 학두서[鶴頭書], 학랑배조[謔浪排調], 학려진병산[鶴唳秦兵散], 학령[鶴翎]  (0) 2024.04.03
하후탄주[夏后呑珠], 하휴간[夏畦艱], 학가[鶴駕], 학개[鶴蓋], 학경[鶴經], 학경불가단[鶴脛不可斷]  (0) 2024.04.02
하학상달[下學上達], 하해지택[河海之澤], 하혜관비[下惠官卑], 하황[蝦荒], 하후기의[夏侯妓衣]  (2) 2024.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