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융융[融融]~융의정[戎衣定]~융전[戎旃]~융준[隆準]~융중[隆中]

하늘구경 2020. 8. 21. 15:31
반응형

융융[戎戎] 성한 모양.

융융[融融] 융융은 모자(母子)가 서로 만나 화락(和樂)함을 뜻한 말이다.

융의[戎衣] 싸울 때 입는 전투복(戰鬪服)을 말한다. 서경(書經) 무성(武成)한번 융의를 입자 천하가 크게 안정되었다.”고 한 데서 나온 것으로 군복과 같은 말이다.

융의정[戎衣定] 융의(戎衣)는 군복(軍服)인데, 주무왕(周武王)이 한 융의로 천하를 정()하였다는 말이 있다. <예기(禮記)>

융장[戎裝] 군복(軍服)을 입고 무장함을 말한다.

융전[戎旃] 융전은 군대의 깃발로 군영을 뜻한다.

융준[隆準] 한 고조(漢高祖)인데, 훌륭한 임금을 말한다.

융준공[隆準公] 한고조(漢高祖)가 코가 높았으므로 융준공(隆準公)이라 하였다.

융중[隆中] 양양(襄陽)의 별칭이다. 제갈량(諸葛亮)이 양양현 서쪽 20리 지점의 융중에서 살았던 데에서 기인한 것이다.

융중[隆中] 제갈량(諸葛亮)의 집이 남양(南陽) 등현(鄧縣)에 있었는데, 사람들이 융중(隆中)이라고 불렀다 한다. <三國志 蜀志 諸葛亮傳 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