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대제[待制] 벼슬 이름이다. 매일 교대로 대기(待機)하여 임금의 조칙(詔勅) 등을 초()하였다.

대제[大堤] 악부(樂府) 이름인 대제곡(大堤曲)을 말한다. 장간지(張柬之)의 대제곡 시에 남국에 가인이 많다지만, 대제의 여인들만은 못하다네[南國多佳人 莫若大堤女]”라 하였다.

대제[大堤] 양양(襄陽)을 가리킨다. 원래는 중국의 호북(湖北) 양양현(襄陽縣)에 있는 큰 제방을 지칭하는 말이었는데, 악부(樂府)인 양양악(襄陽樂) 속에 대제곡(大堤曲)이 들어 있는 데에서 기인하여, 양양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대조[待詔] 대조는 황제의 조명(詔命)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한() 나라 이후 관명(官名)이 되었다.

대조삼년욕일비[大鳥三年欲一飛] 춘추시대 초() 나라의 장왕이 왕이 된 지 3년이 되어도 아무런 정치도 하지 아니 하므로 그 신하가 왕에게 어느 곳에 큰 새가 있는데 3년 동안을 날지 아니하니 어찌된 것인지 모르겠습니다.”라 하니, 왕이 대답하기를 “3년을 날지 않았어도 날면 하늘에 닿도록 크게 날 것이니, 좀 기다려 보아라.”라 하고, 다시 정치를 잘하여 나라를 훌륭하게 만들었다 한다.

대조한전열[大阻漢傳閱] 대조는 남산의 별칭이며 한전(漢傳)은 한서(漢書) 동방삭전(東方朔傳)을 가리킨다. 동방삭전에 남산은 천하의 크게 막힌 곳이다[南山 天下之大阻也]”라 하였는데, 이 때문에 대조란 별명을 붙인 것이다.

대조회[大朝會] 모든 벼슬아치들이 다 모여서 임금을 뵙는 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