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방휼지쟁[蚌鷸之爭] 조개와 도요새의 다툼. 곧 양자(兩者)가 이익을 다투고 있는 사이에 제삼자에게 이익을 가로채이고 함께 망함. 무명조개와 도요새의 다툼. , 도요새가 무명조개를 먹으려고 껍질 안에 주둥이를 넣는 순간, 무명조개가 껍질을 닫는 바람에 서로 물려서 다투게 되었는데 때마침 어부가 이를 보고 둘 다 잡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양자(兩者)가 싸우는 틈을 이용하여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것을 말한다. 방휼지세(蚌鷸之勢). 견토지쟁(犬兎之爭), 어부지리(漁父之利).

배경태백삼[杯傾太白三] 이백이 지은 산중대작시(山中對酌詩)를 말한다. 그 시는 다음과 같다. “兩人對酌山花開 一杯一杯復一杯 我醉欲眠君且去 明朝有意抱琴來

배공수사[裵公水榭] 배공은 당나라 재상 배도(裵度)를 가리키고 수사는 물가에 세운 대사(臺榭)의 뜻인데, 배도의 녹야당(綠野堂)을 가리킨다. 배도가 만년에 관직을 그만두고 나와 오교(五橋)에다 별장을 짓고 그 가운데 양대(涼臺) 서관(暑館)을 만들어 이를 녹야당이라 이름하고는 여기서 백거이(白居易유우석(劉禹錫) 등과 함께 매일같이 술을 마시며 즐겼다. <新唐書 卷一百七十二 裵度傳>

배교[环珓] 조개껍질이나 대나무 등으로 만든 점복(占卜) 기구이다. 이것을 공중에 던졌다가 땅에 떨어진 모양을 보고 길흉을 판단하는데, 윷점 등이 이 종류에 속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