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원사진인[遠徙秦人] 중국 사서(史書)엔 진()의 도망한 백성이 한()으로 왔다고 적혀 있다.

원사허음[遠師許飮] ()의 혜원법사(慧遠法師)가 백련사(白蓮社)를 결성하고 서신을 보내 도잠(陶潛)을 초청했는데, 도잠이 초청을 받고 말하기를 제자(弟子)는 술을 좋아하여 법사께서 술을 마셔도 좋다고 허락하면 곧 가겠습니다.”라고 하자, 혜원이 그를 허락하였다.<盧阜雜記>

원사혼박도[爰絲混博徒] ()는 한() 나라 원앙(爰盎)의 자()이다. 원앙이 벼슬을 그만두고 집에 있을 때 박도(博徒 노름꾼)인 극맹(劇孟)의 인물됨을 높이 평가하여 대우를 잘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101>

원삭[元朔] 한무제가 사용한 연호 중의 하나로 기원전 128-123년 사이의 기간이다. 한서 유림전(儒林傳)에는 원광(元光)으로 되어 있다. 원광 역시 한무제의 연호로 기원전 134-129년이다.

원상애객[原嘗愛客] 전국 때 조()의 평원군(平原君 勝)과 제()의 아들 맹상군(孟嘗君; 田文)들이 다 문객 3천 명을 두었었다.

원서[爰書] 죄인(罪人)의 범죄 사실을 조사한 서류이다. ()은 교환한다는 뜻으로, 옛날에 재판관의 편파를 막기 위하여 서로 옥서(獄書)를 교환해서 심리했던 데서 온 말이다.

원섭전[原涉傳] 한서(漢書) 유협전(游俠傳)에 속한 원섭(原涉)의 전기(傳記). 원섭은 한() 나라 적 사람이며, ()는 거선(巨先)이다.

원성[元聖] 원성은 주공을 가리킨다. 주공의 이름은 단()인데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아우이다.

원성[元聖] 큰 성인으로, 일반적으로 이윤(伊尹)이나 공자(孔子)를 가리킨다.

원성실성[圓成實性] 원만하게 이루어진 진실의 본성을 이른다.

원성유충자[元聖惟沖子] 대성인은 주()나라의 주공(周公)을 말하고 어린 임금은 무왕(武王)의 아들이자 그의 조카인 성왕(成王)을 말한다. 어린 나이에 왕이 된 성왕을 주공이 도와 섭정을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