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월자[月姊] 달 속에 있다는 항아(姮娥)를 이른다.

월재생백야[月哉生魄夜] 음력 열엿새를 가리킨다. ()은 어둡다는 뜻으로 보름이 지나면 달이 점점 기울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월정시[月征詩]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완(小宛)으로, 날마다 학문 공부에 매진하는 뜻을 읊은 시이다. 그 시에 저 할미새를 보니, 날면서 곧 우는도다. 내 날로 매진하나니, 너도 달로 나아가라.[題彼脊令 載飛載鳴 我日斯邁 而月斯征]”라고 하였다.

월조소남지[越鳥巢南枝] 북쪽에 있는 월나라 새는 남쪽으로 뻗은 가지에 깃들임. 곧 고향을 그리워함을 비유하는 말이다.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과 짝을 이루는 대구

월조장석[越調莊舃] 월조는 음조(音調)의 이름으로 상성(商聲) 칠조(七調)의 하나인데, 월 나라에서 나왔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전국시대 월 나라 사람인 장석이 초 나라에 벼슬하여 부귀를 누렸으나 고국을 잊지 못해 병중에 고국을 그리며 월 나라의 곡을 노래하였다.

월조평[月朝評] 인물에 대한 비평. 후한(後漢) 때 허소(許劭)가 그의 향당의 인물들을 매월 초하루에 비평했다 한다.

월중륜[月重輪] 악부슬조곡(樂府瑟調曲)의 이름이다. 한 명제(漢明帝)가 태자 시절 뭇 신하들이 태자를 위해 지은 노래로서 일중광(日重光)월중륜(月重輪)성중휘(星重輝)해중윤(海重潤)4()이 있었다고 한다. <樂府詩集>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