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현어[懸魚] 생선을 달아매는 것, 곧 청백한 관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후한(後漢)의 양속(羊續)이 태수(太守)로 있을 때 어떤 이가 생선을 바쳤는데, 양속이 이를 먹지 않고 달아 두면서 관리들을 경계하였다는 고사에서 나온 문자이다. <後漢書 羊續傳>

현언[玄言] 현언은 현묘한 말이란 뜻으로 노자(老子)·장자(莊子)의 말을 일컫는다.

현영[玄英] 겨울의 별칭이다.

현영[顯榮] 입신하여 번영함, 이름을 날리다.

현옹[玄翁] 신흠(申欽)의 호이다.

현옹[玄翁] 현옹은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이다. 영조 때의 문신으로 그림에도 능한 조선 후기 문인화(文人畵)의 대표자이다.

현요[炫曜] 밝게 비침. 빛나다.

현운[玄雲] 검은 구름.

현원[玄元] 현원황제(玄元皇帝)의 준말로, 당(唐) 나라 때에 노자(老子)에게 올린 존호(尊號)로서 즉 노자를 가리킨다. 구당서(舊唐書) 예의지(禮儀志)에 “開元二十年正月己丑 詔兩京及諸州各置玄元皇帝廟一所…… 天寶二年正月丙辰 加玄元皇帝 尊號大聖祖三字”라고 보인다.

현원궁[玄元宮] 당대(唐代)에 도교(道敎)를 중히 여긴 나머지 노자(老子)를 현원황제(玄元皇帝)로 받들고 각처에 사당을 세웠는데, 서울의 사당은 현원궁(玄元宮)이라 하고 각 지방의 사당은 자극궁이라고 불렀다.

현원성조[玄元聖祖] 당(唐) 나라는 노자(老子)를 숭봉(崇奉)하여 시조(始祖)로 삼고 높여서 현원황제라 하였다.

현원태상군[玄元太上君] 노자(老子)를 높인 말이다.

현위[弦韋] 현은 활시위이고 위는 다룬 가죽인데 활시위는 팽팽하고 다룬 가죽은 느슨한 것이므로, 전국 시대 위(魏) 나라 서문표(西門豹)는 본디 성미가 급한 때문에 느슨한 가죽을 몸에 찼고, 춘추 시대 진(晉) 나라 동안우(董安于)는 본디 성미가 느슨한 때문에 팽팽한 활시위를 몸에 차고서 각각 자신을 반성했던 데서 온 말이다. <韓非子 觀行>

현의[玄衣] 제사를 지낼 때 입는 검은색 옷인데, 검은 학을 뜻하기도 한다.

현익돈장[玄黓敦牂] 고갑자(古甲子)에 현익은 임(壬), 돈장은 오(午)에 해당되어 임오년을 뜻한다.

현인[眩人] 현인은 요술쟁이이다.

현인주[賢人酒] 맑은 술을 ‘성인(聖人)’이라 하고 탁한 술을 ‘현인(賢人)’이라 하는데, 위(魏) 나라 때에 금주령이 내려 주객(酒客)들이 쓴 은어(隱語)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