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落葉[낙엽] 낙화보다 더 슬퍼

 

- 金炳淵[김병연] -

 

盡日聲乾啄啄鴉[진일성건탁탁아] 종일 밭은 소리 톡톡 까마귀가 쪼았나

虛庭自屯減空華[허정자둔감공화] 빈 뜰에 절로 모여 허공 꽃이 줄었네

如戀故香徘徊下[여련고향배회하] 옛 향취 그리는 듯 머뭇머뭇 나리는데

可恨餘枝的歷斜[가한여지적력사] 또렷 비껴 보이는 남은 가지 얄밉구나

夜久堪聽燈外雨[야구감청등외우] 밤늦도록 등불 밖의 빗소리 들었더니

朝來忽見水西家[조래홀견수서가] 아침 오니 물 건너 서쪽 집 홀연 보여

知君去後惟風雪[지군거후유풍설] 그대 떠난 후엔 오직 바람과 눈뿐이라

怊悵離情倍落花[초창리정배낙화] 서글픈 이별의 정 낙화보다 더하구나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성건[聲乾] 오건(五乾) 중 하나로, 오장감(五臟疳)에서 소리가 잘 나오지 않는 질병임.

탁탁[啄啄] 똑똑. 톡톡. 새가 나무를 쪼는 소리. 문을 두드리는 소리. 닭이 쪼아먹는 소리.

밭은소리 : 숨이 차거나 기침 따위가 나서 잇따라 말하지 못하고 자주 짧게 끊어지는 소리. 어울리지 아니하거나 얄밉게 하는 소리.

공화[空華] 번뇌(煩惱)가 있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여러 가지 망상(妄想). 원래는 눈병 걸린 사람의 눈에 괜히 어른거리는 환화(幻化)의 허공 꽃을 말하는데, 일체 만물과 세계 가운데 변하지 않는 실체(實體)가 있다고 망견(妄見)을 일으키는 사람을 비유할 때 불가(佛家)에서 곧잘 쓰는 표현이다. <成唯識論 卷8>

공화[空華] 눈앞에 불똥 같은 것이 어른어른 보이는 증세. 공화는 곧 공중(空中)의 꽃이란 뜻으로, 공중에는 원래 꽃이 없는 것이지만 안질(眼疾)이 있는 사람은 눈이 흐린 때문에 항상 실없이 공중의 환화(幻華)를 보게 되는 데서, 즉 본래 아무런 실체(實體)의 경계(境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망녕된 견해[妄見]에 의해 착각을 일으키어 실제로 있다고 여기는 데에 비유하는 말이다. 공화(空花), 안화(眼花) 등으로 불린다.

배회[徘徊] 목적 없이 거닒. 목적 없이 어떤 곳에서 이리저리 돌아다님. 거닐다. 서성이다. 왔다 갔다 하다. 오락가락하다. 배회하다. 망설이다. 주저하다. 결정을 내리지 못하다. 머무르며 앞으로 가지 못하는 모습.

가한[可恨] 밉살스럽다. 가증(可憎)스럽다. 원망스럽다. 혐오스럽다.

적력[的歷] 선명하다. 또렷또렷하여 분명(分明).

감청[堪聽] 들을 수 있다. 들을 만하다.

초창[怊悵] 근심하는 모양. 실의 한 모양. 실망한 모양. 마음에 섭섭하게 여김. 원망하며 슬퍼하는 모양. 비분(悲憤)하는 모양. 한탄스러우며 슬픔.

이정[離情] 이별의 감정. 이별의 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