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제석[帝釋] 본디 도리천(忉利天)의 임금으로 범왕(梵王)과 더불어 불법(佛法)을 지키는 신인데, 절을 뜻하기도 하다.

제석[除夕] 는 사전에 除 謂去也. 除惡務本이란 뜻으로 쓰인다고 되어 있다. 제석(除夕)은 일년의 마지막날인 섣달 그믐밤으로 일년의 모든 일을 정리하고 낡은 것을 몰아내고 새해를 새로운 마음으로 맞이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제야(除夜), 또는 덜리는 밤이라고도 한다.

제석천[帝釋天] 불교(佛敎)에서 말하는 삼십삼천(三十三天)의 하나로 석가불이 살고 있다는 도리천(忉利天)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곧 석가불(釋迦佛)을 지칭한 것이다.

제성조벽일시강[齊城趙壁一時降] 한신이 조() 나라와 제() 나라를 모두 쳐부순 일이 있었다.

제세안민책[濟世安民策] 세상을 도탄에서 건지고 백성을 편안케 하는 계책이다.

제세일모[濟世一毛] 봉황의 터럭 하나라는 말로, 부조(父祖)의 유풍(遺風)을 이어받은 걸출한 인물을 비유할 때 쓰는 표현이다. () 나라 왕소(王劭)와 남조 제()의 사초종(謝超宗)이 각각 환온(桓溫)과 제 무제(齊武帝)로부터 봉모(鳳毛)를 확실히 이어받아 가지고 있다.”는 찬사를 받았던 고사가 있다. <世說新語 容止·南齊書 卷36 謝超宗列傳>

제세지재[濟世之才] 세상을 구제할 만한 뛰어난 인물을 말한다.

제속[齊速] 나란히 달리다.

제수[除授] 천거(薦擧)의 절차를 밟지 아니하고 임금이 직접 벼슬을 시킴을 말한다.

제수토곡[齊修土穀] 육부(六府삼사(三事)가 잘 다스려짐을 가리키는 말이다. 육부는 수·····(水火金木土穀)의 여섯 가지, 삼사는 정덕(正德이용(利用후생(厚生)의 세가지인데 토곡은 곧 이 육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서경(書經) 대우모(大禹謨)·····(水火金木土穀)이 유수(惟修)하며 정··이용·후생(正德利用厚生)이 유화(惟和)하여……라는 대목이 있는데, 이에 대한 주()수극화(水克火)하고 화극금(火克金)하고 목극토(木克土)하여 오곡(五穀)을 내는 것이니, 혹은 서로 견제하고 혹은 서로 도와서 부족한 것을 보충하면 여섯 가지가 모두 잘 다스려지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