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조참[篠驂] 죽마(竹馬)와 같은 뜻으로, 아이들이 장난할 때 말처럼 두 다리로 걸터타고 다니는 대막대기를 말한다.

조참[朝參] 매달 네 차례씩 문무 백관이 검은 조복(朝服)을 입고 정전(正殿)에 나가 임금에게 문안을 드리고 정사를 아뢰는 것을 말한다.

조참[曹參] ()의 조참이 소하(蕭何)를 대신해 승상이 되어 밤낮 술만 마시고 일을 돌보지 않았다. 경대부(卿大夫) 및 빈객(賓客)이 이를 말하려고 찾아가면 조참이 순주(醇酒)를 먹여 취하게 하므로 끝내 입을 열지 못하곤 하였다. <史記 曹相國世家>

조창[趙昌] () 나라 때의 화가(畫家)로 특히 화과(花果)를 잘 그렸다.

조처사[趙處士] 조연귀(趙衍龜)를 가리킨다.

조천관[朝天館] 제주도 세 고을을 경유하여 육지로 나가는 자는 모두 여기에서 바람을 기다리고, 전라도를 경유하여 세 고을로 들어오는 자도 모두 이곳과 애월포(涯月浦)에 배를 댄다고 한다.

조천기린석[朝天麒麟石] 기린굴(麒麟窟)의 조천석을 말한다. 평양 부벽루(浮碧樓) 아래에 있는데 세상에 전하기를 동명왕(東明王)이 기린마를 타고 이 굴로 들어가 땅속으로부터 조천석으로 나와서 하늘로 올라갔다.”고 하는데 그 말굽자국이 지금도 돌 위에 있다.

조천대[朝天臺] 부벽루 아래 있는 기린굴(麒麟窟) 남쪽에 있는데, 세상에서 전하되 동명왕이 기린말을 타고 이 굴에 들어갔다가 땅속에서 조천석이 되어 솟아나와 하늘로 올라갔다 하며, 그 말발굽 자국이 돌 위에 있다고 한다. <輿覽>

조천부미약[朝天鳧未躍] 서울로 오는 수령이 출발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후한(後漢) 현종(顯宗) 때 하동(河東) 사람 왕교(王喬)가 섭현(葉縣)의 영()이 되었는데, 매달 삭망(朔望)에 대궐에 나와 조회에 참석하였다. 황제가 그가 자주 오는데도 수레가 보이지 않는 것을 괴이하게 여겨 태사(太史)로 하여금 몰래 엿보게 하였다. 그러자 태사가 그가 올 때에는 두 마리의 오리가 동남쪽에서 날아온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오리가 오는 것을 보고 그물을 펴서 잡으니, 단지 신발 한 짝만 있었다. <後漢書 卷82 方術列傳 王喬>

조천촉[照天燭] 옛날 밝은 관원을 조천촉(照天燭)이라 칭도한 고사가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