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심알장교[邪心遏莊蹻] 장각은 춘추 시대 초() 나라의 도둑인데, 성질이 포악하여 도척(盜跖)과 함께 흉악한 사람으로 일컬어진다.

사심자시[師心自是] 자기 생각만 옳다고 함을 말한다.

사심자용[師心自用] 마음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쓴다는 뜻으로, 자기가 생각하는 일은 다 옳다 하여 그대로만 하고 남의 말은 귀 기울이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사십구년비[四十九年非] 춘추 시대 위() 나라의 현대부(賢大夫)인 거백옥(蘧伯玉)이 나이 50이 되었을 때 49년 동안의 잘못된 행동을 깨달았다는 고사가 전한다. <淮南子 原道訓> 참고로 이태백의 시 자극궁에는 이 구절이 지난 사십구 년 잘못된 생애, 한번 지나가니 돌이킬 수 없도다.[四十九年非 一往不可復]”로 되어 있다.

사십구재[四十九齋] 불교에서 죽은 이를 위한 의식 중, ()는 마음을 가지런히 하고 삼가하며 맑게 하는 의식이고, ()는 죽은 이를 위해 음식을 바치며 정성을 들이는 의식이다. 재에는 7일재(七日齋)49(四十九齋)가 있는데 ‘7일재는 돌아가신 날로부터 7일째 되는 날 지내는 것이고, ‘497번째 돌아오는 7일재에 지내는 것이다. 7월 보름에 돌아가신 부모님을 위해 올리는 우란분재(盂蘭盆齋), 윤달에 죽기 전에 미리 공덕을 쌓기 위해 지내는 예수재(預修齋) 등이 있다. 사람이 죽으면 49일 동안 7번의 생사(生死)를 거치는 중음신(中陰身)의 과정을 거치는데 49일째 되는 날은 드디어 중음신의 신세를 벗고 삼계(三界) 육도(六道)에 다시 태어나는 날이라 한다. 남아있는 가족이나 친지들이 이 날을 기념하여 죽은 자가 삼계(三界 : 天界, 地界, 人界)에 가서 누리게 될 후생의 평안을 위해 독경과 공양으로 명복을 비는 것을 말한다. 칠칠재라고도 한다. 흔히 제사를 연상해 사십구제라고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사십이불혹[四十而不惑] 나이 사십이 되어서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세상의 도리를 분명하게 알게 되어 어떠한 일에도 의혹되는 일이 없었다는 공자의 말로, 불혹(不惑)은 나이 40세로 사용된다. 불혹지년(不惑之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