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안석[謝安石] () 나라 때의 명신(名臣) 사안(謝安)으로 안석은 그의 자. 그는 세상에 나갈 뜻이 없어 계속 동산(東山)에 은거하다가, 대장군 환온(桓溫)의 천거에 의해 나이 40세에 처음 사마(司馬)가 되었었다. 그 후로 점차 중용되어 전진(前秦) 부견(苻堅)의 백만군을 격파 평정하였고, 또 진실(晉室)을 찬탈하려던 대사마(大司馬) 환온의 음모를 깨뜨려 이루지 못하게 함으로써 진나라를 반석같이 보호하였다. <晉書 卷七十九>

사안이와명유중[謝安以臥名逾重] 사안(謝安)이 젊은 시절부터 명망이 있었는데, 조정에서 불러도 나가지 않고 회계(會稽)의 동산(東山)에 숨어살았으므로 명망이 더 높아졌었는데, 뒤에 환온(桓溫)의 부름을 받고 나가 큰 공을 세우고 끝에 가서 태부(太傅)로 추증되었다. <晉書 謝安傳>

사암[思菴] 고려 후기의 문신인 유숙(柳淑)의 호이다.

사야교[士也驕] 시경(詩經) 위풍(魏風) 원유도(園有桃)내 마음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은, 나더러 선비가 교만하다 하누나.[不知我者 謂我士也驕]”라고 하였다.

사양[謝楊] 사씨와 양씨. 송 나라 정명도(程明道)와 이천(伊川)의 문인인 사양좌(謝良佐)와 양시(楊時)이다.

사양장랑[使羊將狼] 양으로 하여금 이리의 장수가 되게 한다는 뜻으로, 약자에게 강자를 통솔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사양지심[辭讓之心] 겸손히 마다하며 받지 않거나 남에게 양보하는 마음. ()의 근본이다.

사양지심예지단야[辭讓之心禮之端也] 겸허하게 양보하는 마음은 예()의 근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