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산음아[山陰鵝] 왕희지가 거위를 무척 좋아했는데, 그때 산음(山陰)의 한 도사(道士)가 좋은 거위를 기르고 있었다. 희지가 가서 보고 마음에 들어 그 거위를 팔 것을 권하자 그 도사가 말하기를 나에게 도덕경(道德經)을 써주면 이 거위들을 주겠노라.”하여, 희지는 그가 요구한 대로 다 써주고 그 거위를 가지고 돌아왔다는 것이다. <晉書 王羲之傳>

산음이현편[山陰理縣編] 남제(南齊) 때 부염(傅琰)이 산음령(山陰令)으로 있으면서 매우 선정을 베풀어 그 고을에서 신명(神明)으로 일컬어졌는데, 그의 부자(父子)가 똑같이 산음현을 잘 다스렸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이르기를 부씨(傅氏) 집안에는 고을 다스리는 문서[理縣譜]가 있어 자손이 대대로 전한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南齊書·卷五十三>

산음진적[山陰陳迹] 왕희지(王羲之)33일에 회계(會稽) 산음(山陰)에 있는 난정(蘭亭)에서 명사(名士) 40명과 놀면서 각각 시()를 짓고 희지가 서문(序文)을 지었는데, 그 글에 한 번 구부리고 한 번 우러러 보는 사이에 벌써 묵은 자취가 된다[俯仰之間 己成陳迹].”는 귀절이 있다.

산음회도흥[山陰回棹興] () 나라 때 왕휘지(王徽之)가 산음(山陰)에 살았는데, 한밤중에 눈이 내리자 친구인 대규(戴逵)가 갑자기 생각났다. 이에 즉시 밤을 새워 배를 타고 대규가 사는 집 문앞까지 갔는데, 문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되돌아왔다. 어떤 사람이 그 까닭을 물으니, 말하기를 나는 흥이 나서 갔다가 흥이 다해 돌아온 것이다.”라고 하였다. <世說新語 任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