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서강월[西江月] 사곡(詞曲) 이름인데, 남녀의 애정을 노래한 것이다.

서강중[徐剛中] 강중은 서거정(徐居正)의 자()이다.

서거[犀渠] 방패 이름이다. 좌사(左思)의 오도부(吳都賦)家鶴膝 戶有犀渠라고 한 그 주에 渠楯也라 하였다.

서거[犀炬] () 나라 온교(溫嶠)가 배를 타고 우저기(牛渚磯)를 지날 적에 물속에서 음악 소리가 들려오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무소의 뿔에 불을 붙여 비춰 보자, 말과 수레를 타고 붉은 모자를 쓴 물속의 괴물들이 나타났는데, 그날 밤에 온교가 괴물로부터 너와 나는 각각 다른 이승과 저승의 세계에서 살고 있는데, 어째서 우리에게 불을 비췄느냐.”고 꾸지람을 당하는 꿈을 꾸고 나서 얼마 뒤에 죽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晉書 溫嶠傳>

서거유위[西去遊渭] 태공이 주를 피해 위수(渭水)에서 낚시질을 하면서 지내다가 문왕을 만나 등용되고, 그 뒤에 다시 무왕을 도와 상나라를 정벌하였다. 이에 백이와 숙제는 무왕에게 정벌하지 말 것을 간하다가 듣지 않자 수양산으로 들어가 굶어 죽었다. <史記 卷六十一 伯夷列傳>

서검[書劍] []은 문()을 배우는 것이요, ()은 무()를 배운다는 것인데, 문무(文武)의 재주를 지녔다는 말이다. 항우(項羽)의 숙부 항량(項梁)이 항우에게 글을 가르치고 칼 쓰는 법은 가르쳤다.

서검[書劍] 글을 읽어 관리가 되고 칼을 잡고 종군(從軍)하는 것으로 문관이나 무관이 되는 것을 말한다. 맹호연집(孟浩然集) 3 자락지월(自洛之越) 시에 삼십 년을 허둥지둥 글과 칼 다 못 이루었네[遑遑三十年 書劍兩無成]”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