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덕이불견대평년[德彝不見大平年] 당 태종(唐太宗)이 처음 나라를 다스릴 방침을 세울 때에 여러 신하와 의논하였더니, 위징(魏徵)은 인의(仁義), 봉덕이(封德彝)는 형법(刑法)으로 정치를 하기를 주장하였다. 태종(太宗)은 위징의 말대로 인의(仁義)로써 정치를 하여 천하가 태평하게 되었으며 봉덕이는 이미 죽었었다. 태종은 지금 천하가 이렇게 태평한 것은 위징의 힘인데, 봉덕이에게 오늘날 이것을 보게 하지 못한 것이 한이로다.”라고 하였다.

덕인[德人]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가리킨다.

덕작달존[德爵達尊] 달존은 누구나 모두 존경한다는 뜻으로 덕과 지위가 높음을 말한다. 맹자(孟子) 공손추 하(公孫丑下)천하에 세 가지 달존이 있으니 벼슬이 높은 사람, 덕이 높은 사람, 나이가 많은 사람이다.”라고 한 말에서 나온 것이다.

덕장[德璋] 남조(南朝) ()의 공치규(孔稚珪)의 자이다. 은거생활을 떠나 벼슬길로 나간 벗 주옹(周顒)을 풍자한 북산이문(北山移文)의 작가이다.

덕형[德馨] 서경(書經)서직(黍稷)의 음식이 향기로움이 아니라 덕이 향기롭다.”라고 하였다.

덕혜봉재진[德慧逢災疹]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덕혜(德慧)와 술지(術知)가 있는 자는 항상 진질(疢疾)이 있느니라.”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덕혜는 총혜한 덕을 말하고, 재진은 재환(災患)을 뜻한다. <孟子 盡心上>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