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동의[童衣] 동의는 청의동자(靑衣童子)를 줄인 말이다. 옛날 전진왕(前秦王) 부견(苻堅)이 사람들을 물리치고 혼자서 사면령(赦免令)을 쓰고 있었는데, 쉬파리[靑蠅]가 한 마리 날아들어와 쫓으면 다시 오곤 하였다. 조금 뒤에 사람들이 사면령 내릴 것을 전부 알고 있으므로, 사실을 알아보니 한 청의동자(靑衣童子)가 길거리에 사면령이 내렸다고 소리치고 다녔다 했다. 그제서야 부견은 전의 쉬파리가 바로 청의동자로 화했음을 알았다 한다. <白孔六帖>

동이누[東夷陋] 공자가 구이(九夷)에 살고자 하니 어떤 사람이 말하되 ()하리이다.”라 하니, 공자가 말하되 군자가 살면 무슨 누추함이 있겠는가.”라 하였다.

동이불화[同而不和] 겉으로는 동의를 표시하면서도 내심은 그렇지 않음을 이른다. 공자는 논어의 자로 편에서 군자는 화이부동(和而不同)하고 소인은 동이불화(同而不和)한다고 했다. 다른 사람과 생각을 같이하지는 않지만 이들과 화목할 수 있는 군자의 세계를 밖으로는 같은 생각을 가진 것처럼 보이나 실은 화목하지 못하는 소인의 세계와 대비시켜 군자의 철학을 인간이 추구해야 할 덕목이라고 공자는 주장한 것이다.

동이수[童二樹] 동이수는 청 나라 산음(山陰) 사람인데 이름은 옥(), 자는 박암(璞巖), 호는 이수이다. 산수(山水난죽(蘭竹목석(木石)에 두루 공력이 있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