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모자[毛子] 모자는 동한(東漢) 여강(廬江)의 효자 모의(毛義)이다. ()에서 수령을 삼겠다는 격()을 보내자 모의는 그 격을 받들고 희색이 만면했었는데, 나중에 그의 어머니가 죽으니 벼슬을 버리고 공거(公車)로 불러도 가지 않았다고 한다. <後漢書 卷三十九 劉平等傳序>

모자영리토계비[茅茨影裏土階卑] ()임금이 천자가 되어서도 모옥(茅屋)에 거처하고 흙으로 뜰을 만들었다.

모자토계[茅茨土階] 생활을 매우 검소하게 함을 지칭한 말이다. 모자는 모자불전(茅茨不剪)의 준말로, 지붕을 띠로 이고서 끝을 베어 가지런하게 하지 않는 것이고, 토계는 토계삼등(土階三等)의 준말로, 흙으로 뜰을 쌓되 세 계단만 쌓는다는 뜻이다. 사기(史記) 태사공 자서에 묵자(墨子)가 요순(堯舜)의 덕행을 높여 말하기를 토계는 세 계단이었고 모자를 베지 않았다.’고 했다.”라고 하였다.

모장[毛嬙] 서시(西施)와 함께 고대 미인으로 손꼽히던 여인이다. <戰國策 齊策>

모적[蟊賊] 모는 뿌리를 잘라먹고 적은 줄기를 갉아먹는 해충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