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유시[柳市] 버드나무 그늘이 드리운 거리. 보통은 술집이 있는 거리를 뜻한다.

유시[侑尸] 제사할 때 시()에게 음식을 권하는 일이다.

유시무종[有始無終] 시작은 있으나 끝이 없음을 이른다. 유시유종(有始有終).

유시불망간[牖尸不忘諫] () 나라의 대부 사추(史鰌)가 임금 영공(靈公)을 간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사추가 죽음에 임박하여 아들에게 말하기를 내가 생전에 임금의 잘못을 바로잡지 못하였으니, 죽거든 시체를 바라지문 밖에 두어라.”라 하였는데, 임금이 이를 듣고 뉘우쳤다고 한다.

유시여[猶時汝] 시여(時汝)는 사마표의 주에 처녀(處女)와 같다.”고 했고, 상수(尙秀)처녀와 같이 남에게 순종하기만 하고 앞장서서 구하지는 않는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유시유종[有始有終] 시작도 있고 끝도 있다는 데서, 시작할 때부터 끝맺을 때까지 변함이 없음을 말한다. 유시무종(有始無終).

유식[游息] 유식은 정과(正課) 이외의 휴식 시간에도 항상 학문에 마음을 두는 것을 말한다.

유신[有莘] 나라 이름.

유신[庾信] 남북조(南北朝) 때의 학자로서 자()는 자산(子山)이다. 처음에는 양()에 벼슬하여 태자서인(太子庶人)이 되었고 뒤에 북주(北周) 효민제(孝閔帝) 때 표기대장군(驃騎大將軍)을 지냈고 좌전(左傳)에 정통하였다. 그의 학문은 매우 해박하고 문장은 매우 아름다워 서능(徐陵)과 함께 서유체(徐庾體)라고 칭해진다. 그의 변려문(騈儷文)은 육조(六朝)의 집대성(集大成)이라 한다. 저서에는 유자산집(庾子山集)이 있다.

유신[庾信] 남북조(南北朝) 시대 북주(北周) 사람. 서능(徐陵)과 함께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으니, 그들의 문체(文體)를 유서체(庾徐體)라고 한다. 저서에는 유개부집(庾開府集)이 있다.

유신경수[有莘耕叟] 유신 들의 농사꾼이란 바로 유신국(有莘國)의 들에서 일찍이 농사를 지었던 이윤(伊尹)을 말하는데, 그는 탕() 임금에게 재상으로 등용되었다. <孟子 萬章上>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