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창랑[滄浪] 동해(東海) 가운데 있는 신선이 산다는 곳. 즉 창랑주(滄浪洲)의 준말이다.

창랑[滄浪] 창랑은 강물 이름인데 초사(楚辭) 어부사(漁父辭)창랑의 물이 맑을 때는 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릴 때는 내 발을 씻으리.”에서 나온 것으로, 은자가 사는 강변을 뜻한다.

창랑가[滄浪歌] 전국 시대 초() 나라의 굴원(屈原)이 쫓겨나서 강담(江潭)에 노닐 적에 한 어부(漁父)가 굴원이 세상을 불평하는 말을 듣고서 빙그레 웃고 뱃전을 두드리며 떠나면서 창랑(滄浪)의 물이 맑거든 내 갓끈을 씻을 것이고 창랑의 물이 흐리거든 내 발을 씻으리라.[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맹자(孟子) 이루(離婁)에도 같은 내용이 있다.

창랑객[滄浪客] () 나라의 쫓겨나서 강담(江潭)에 노닐던 굴원(屈原)을 일컫는다. 강호(江湖)를 물결처럼 떠도는 나그네라는 말이기도 하다.

창랑곡[滄浪曲] 창랑가는 맹자(孟子)와 초사(楚辭)에 실린 노래로 즉 창랑의 물이 맑거든 나의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거든 나의 발을 씻으리라[滄浪之水淸兮 可以濯我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我足].” 한 것인데, 맹자(孟子)에서는 유자(孺子)가 한 노래로서 길흉·화복은 모두 자초(自招)하는 것이라는 뜻을 담고 있고, 초사(楚辭)에서는 어부(漁父)가 굴원(屈原)에 대하여 부른 노래로서 세상이 태평하면 벼슬을 하고 세상이 어지러우면 은둔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孟子 離婁上, 楚辭 漁父>

창랑구산인[滄浪舊散人] 창랑가(滄浪歌)를 부른 어부(漁父)를 말한다. 초사(楚辭) 어부사(漁父辭)창랑의 물 맑으면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 흐리면 발이나 씻어야지.”라고 하여, 용사행장(用舍行藏)의 도리와 자업자득(自業自得)의 뜻을 피력하였다.

창랑선리론[滄浪禪理論] 창랑은 청 나라 엄우(嚴羽)의 호이다. 그가 지은 창랑시화(滄浪詩話)에 선리(禪理)로 시를 해설하였다.

창랑자[滄浪子] 최명길(崔鳴吉)의 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