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노야어가[魯野漁歌] 어떤 유자(孺子)가 어부가를 노래하기를 창랑(滄浪)의 물이 맑으면 내 갓끈을 씻을 것이요, 창랑의 물이 흐르면 내 발을 씻을 것이다.”라고 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소자(小子)들아, 들어 보아라. 맑으면 갓끈을 씻게 되고, 흐리면 발을 씻게 되는 것이니, 모두가 스스로 취하는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孟子 離婁 上>

노어[魯魚] 실수로 잘못 필사(筆寫)한 글자를 말한다. ()와 어(). 곧 글자 모양이 비슷한 데서 오는 잘못을 이른다. 포박자(抱朴子) 내편(內篇) 하람(遐覽)글을 세 차례 정도 옮겨 쓰다 보면, ()가 노()로 변하고 허()가 호()로 바뀌곤 한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다. 노어지류(魯魚之謬). 노어해시(魯魚亥豕). 노어도음(魯魚陶陰).

노오[盧敖] 본디 연() 나라 사람인데, 진 시황(秦始皇)이 그를 불러 박사(博士)로 삼아서 그로 하여금 신선(神仙)을 구하게 하였으나, 그는 한번 가서 돌아오지 않고 노산(盧山)에 은거하다가 선인(仙人) 약사(若士)를 만나서 뒤에 신선이 되어 갔다고 한다. <淮南子 道應訓>

노오생[盧敖生] 노오는 진 시황(秦始皇) 때 사람으로, 진시황이 그를 박사(博士)로 삼고 신선을 구하게 하였는데, 그는 노산(盧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신선이 되었다고 한다.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노오는 북해(北海)에서 노닐고 태음(太陰)을 경유하여 현궐(玄闕)로 들어갔다.”고 하였다.

노옹[潞翁] 노옹은 송() 나라 때 노국공(潞國公)에 봉해진 문언박(文彦博)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