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신야[莘野] 유신(有莘)의 들. 이윤(伊尹)이 탕() 임금을 만나기 전에 밭을 갈면서 은거하여 도를 즐겼던 곳이다. 맹자(孟子) 만장 상(萬章上)맹자가 말하기를, ‘이윤이 신야의 들에서 밭을 갈면서 요순(堯舜)의 도를 좋아하여 의()가 아니고 도()가 아니면 천하로써 녹을 준다고 하더라도 돌아보지 않았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신야노[莘野老] () 나라 탕() 임금의 재상 이윤(伊尹)이다.

신야별설옹[莘野蹩躠翁] 이윤(伊尹)을 가리킨다. 신야는 이윤이 탕() 임금을 만나기 전에 밭을 갈면서 은거하며 도를 즐겼던 곳이다. 맹자(孟子) 만장 상(萬章上)이윤이 신야의 들에서 밭을 갈면서 요순(堯舜)의 도를 좋아하여 의()가 아니고 도()가 아니면 천하로써 녹을 준다고 하더라도 돌아보지 않았다.”라고 하였다.

신양[神羊] 법관(法官)이 머리에 쓰는 해치관(獬豸冠)을 이른다. 신양은 바로 신수(神獸)인 해치(獬豸)의 별칭인데, 해치는 사람의 시비곡직을 잘 알아 부정한 사람을 보면 뿔로 받는다고 하므로 법관이 해치관을 썼다 한다.

신양일선장[新陽一線長] 동지는 일양지월(一陽之月)이라 하여 괘()로 보면 순음(純陰)의 상태에서 아래에 양효(陽爻) 하나가 새로 소생하는 형상에 해당하므로 이렇게 말한 것이다.

신언서판[身言書判] 사람의 자질을 판단하는 네 가지 기준.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선발하는 데 활용되는데, 사람이 갖추어야 할 네 조건 용모와 풍채[], 말씨[], 문필[], 판단력[]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