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남해[南陔] 남해는 시경(詩經) 소아(小雅)에 나오는 생시(笙詩 제목만 있고 가사는 없어진 시의 편명으로, 어버이를 봉양하는 효자의 심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남해[南陔] 효자가 서로 경계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시인데 그 시는 없다. 이에 대한 속석(束晳)의 보망시(補亡詩)從彼南陔 言採其蘭의 구가 있다.

남해조운탑[南海朝雲塔] 애첩(愛妾)과 정다운 한때를 보낸 것을 말한다. 초왕(楚王)과 무산(巫山)의 신녀(神女)가 운몽(雲夢)의 누각 위에서 만나 남녀간의 지극한 환락(歡樂)을 나누었는데, 그 신녀가 떠나면서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로 내리면서[旦爲朝雲 暮爲行雨] 언제나 이 누각을 떠나지 않겠다.”고 말했다는 전설이 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에 나온다. <文選 卷19>

남해편[南陔篇] 생시(笙詩)의 편명으로, 효자(孝子)가 부모 봉양할 일을 서로 경계하는 노래인데, 본시(本詩)는 없어졌고 다만 진() 나라 속석(束晳)의 보망시(補亡詩)가 있을 뿐이다.

남행[南行] 남쪽 항렬(行列). 이 경우에는 남항이라 읽어야 할 터인데 남행이라 읽는 것은 관습이다. 제도상(制度上) 관용(慣用)하는 경우는 여러 가지가 있다. 문관·무관의 정직(正職)이 아닌 잡직(雜職)에 있는 사람들, 문과(文科무과(武科)에 급제하지 않고 부조(父祖)의 음덕(蔭德) 또는 본인의 학행(學行)때문에 벼슬이 오른 사람들, 회례(會禮회좌(會座) 때에 남쪽에 자리하는 사람들 등을 이르는 말로 쓰이며, 그 반열(班列) 자체를 뜻하기도 하고 그 반열에 속하는 개인 또는 전원을 뜻하기도 한다. 또 문·무의 반열을 동반(東班서반(西班)이라 칭하는 데에 대하여 잡직인 사람을 남반(南班)이라 칭하기도 하고, 회좌 때의 북벽(北壁동벽(東壁서벽(西壁)에 대하여 남쪽에 상()을 두고 앉는 좌차(座次)에 해당하는 사람을 남상(南床)이라 칭하기도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