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온실성[溫室省] 온실성은 중서성(中書省)의 별칭이다.

온실성[溫室省] 온실성은 한() 나라 때 전(殿) 이름으로, 즉 온실전(溫室殿)을 말한다.

온실수[溫室樹] 온실은 전명(殿名)으로, 조정의 정사를 누설시키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서(漢書) 공광전(孔光傳)어떤 사람이 광에게 온실성(溫室省) 가운데 모두 무슨 나무를 심었습니까?’라고 묻자, 광은 잠자코 대답하지 않았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온실수[溫室樹] 온실은 한대(漢代)의 궁전 이름. 전하여 궁궐에 있는 수목(樹木)을 가리킨다.

온온[氳氳] 기운이 성한 모양이다.

온온[溫溫] 온화한 모양, 윤택한 모양, 열기가 나는 모양이다.

온유[溫柔] 따뜻하고 부드러운 여체(女體)를 말한 것으로 미인을 온유향(溫柔鄕)이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온유돈후[溫柔敦厚] 성품이 온화하고 부드럽고(유순하고) 인정이 두텁고 후덕함을 이른다.

온정균[溫庭筠] () 나라의 문장가로서 본명은 기(), 자는 비경(飛卿). 문장이 뛰어나, 당시 대문장가인 이상은(李商隱)과 이름이 대등하였고, 저서에는 악란집(握蘭集)금전집(金荃集)한남진고(漢南眞稿)가 있다.

온정황향[溫凊黃香] 온정은 아들이 어버이를 봉양함에 있어 겨울에는 다숩게 하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리는 것으로, 전하여 어버이를 효성으로 봉양하는 것을 이르는데, 후한(後漢) 때 황향(黃香)이 어려서 모친을 여의고 아버지를 섬기면서 항상 여름이면 부친의 와상과 베개에 부채질을 하여 시원하게 하고, 겨울이면 자신이 부친의 이부자리 속에 먼저 드러누워 자리를 다습게 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八十>

온조성[溫祚城] 광주목(廣州牧)에 있는 고성. 백제 온조왕(溫祚王)13년에 위례성(慰禮城)에서 한강을 끼고 있는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도읍지를 옮기기 위하여 쌓은 성이다. 온조왕 고성(溫祚王古城).

온청[溫凊] 동온하정(冬溫夏凊)의 준말로,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데 있어 겨울에는 따습게 해드리고 여름에는 서늘하게 해드린다는 뜻이다. 예기(禮記) 곡례 상(曲禮上)자식은 부모님에 대해서, 겨울에는 따뜻하게 해 드리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 드려야 한다.[冬溫而夏凊]”라는 말이 나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