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종소[終宵] 밤새도록.

종소문[宗少文] 남조 송 때의 은사 종소문(宗少文)은 본디 산수(山水)를 좋아하여 일찍이 서쪽으로 형산(荊山무산(巫山)을 다 올라 구경하고, 남쪽으로 형산(衡山)에 올랐다가 인하여 형산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뒤에 병이 들자 강릉(江陵)으로 돌아와 탄식하기를 늙고 병들어서 명산(名山)을 두루 구경하기 어려울 듯하니, 오직 누워서 유람을 하리라.”라고 하고는, 자신이 일찍이 유람했던 산들을 모두 방 안에 그려놓고 구경했다는 고사가 있다. <南史 卷七十五>

종수[嵕岫] 장안(長安) 가까이 있는 명산인 구종산(九嵕山)인데, 광릉(光陵)이 있는 양주(楊州) 주엽산(注葉山)을 말하기도 한다.

종수탁타전[種樹槖駝傳] 유자후(柳子厚)가 지은 종수탁타전(種樹槖駝傳)곽탁타라는 사람이 나무를 잘 가꿔 그 이치를 물으니 답하기를 나는 나무를 옮겨 심을 때에 뿌리를 펴고 본 땅의 흙을 가져오고 깊지도 얕지도 않게 적당하게 심어놓은 뒤에는 손대지 않아서 식물의 천성(天性)을 그대로 보존시킨다. 다른 사람들은 이와 반대이므로 옮겨 심은 나무가 잘 살고 번성하지 못하는데, 이 이치를 정치에 옮긴다면 관리가 백성을 사랑하는 척 하면서 자주 나와 간섭하니 백성이 관리의 명령을 전하고 접대하기에도 바쁜데 어느 겨를에 농사짓고 일하겠는가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종신국륜[宗臣國倫] 종신은 명() 나라 때 문장가(文章家)이고 오국륜도 명 나라 때의 시인으로, 이들은 다 가정(嘉靖) 연간의 칠자(七子)로 유명하다.

종신모[終身慕] 맹자(孟子)의 말에 종신토록 부모를 생각하는 이는 오직 순()이다.”라고 하였다.

종실[鍾室] 궁궐에서 사용하던 악기를 보관해 두던 방이다.

종심[從心] 70. 마음을 따르다. 성인(聖人)의 경지에 이른 70세의 나이에는 내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하여도 결코 정도(正道, 법도, 도덕적 규범)를 벗어나는 일이 없었다.

종씨시품[鍾氏詩品] 종씨는 양() 나라 사람 종영(鍾嶸), 자는 중위(仲偉). 시품(詩品)은 그가 한(() 이래의 시인 13인의 작품을 상··하로 우열을 논해 놓은 것을 말한다. <梁書 卷四十九·南史 卷七十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