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종자[宗子] 왕자를 말한다. 장재(張載)의 서명(西銘)대군(大君)은 우리 부모의 종자이다.”라는 말이 있다.

종자[鍾子] 춘추 시대 거문고의 명인 백아(伯牙)의 연주를 가장 잘 이해했던 종자기(鍾子期)를 말한다. <列子 湯問>

종자가남음[鍾子歌南音] 이 말은 좌전(左傳)진후(晉侯)가 군부(軍府)를 시찰하다가 종의(鍾儀)를 보고서, 유사(有司)에게 묻기를 남관을 쓰고서 얽매어 있는 자는 누구냐라고 하니, 대답이 () 나라에서 바친 초() 나라 죄수입니다.’라고 하였다.”고 한 데 보인다. 종의는 진()에 있으면서 남음(南音)을 노래하였다.

종자기[鍾子期] 음률(音律)을 잘 아는 사람. 전하여 상대의 심정을 잘 이해하는 지기지우(知己之友). 종자기와 백아(伯牙)는 모두 춘추 시대 사람으로, 백아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는 거문고 소리를 잘 들었는데, 백아가 일찍이 거문고를 타면서 높은 산에 뜻을 두자, 종자기가 듣고 말하기를 좋다! 험준함[峩峩]이 마치 태산(泰山) 같구나.”라고 하였고, 백아가 흐르는 물에 뜻을 두고 거문고를 타자, 종자기는 또 말하기를 좋다! 양양(洋洋)함이 마치 강하(江河)와 같구나.”라고 하여 백아의 생각을 종자기가 다 알아들었다. 그리하여 종자기가 죽은 뒤에는 백아가 자기 거문고 소리를 알아줄 이가 없다 하여 거문고 줄을 끊어버리고 다시 타지 않았다고 한다.

종장[宗匠] 경학에 밝고 글 잘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급제를 뜻한다.

종장[鍾張] 삼국 때 위나라 종유(鍾繇)와 한() 나라 장지(張芝). ()은 예서(隸書)의 명가(名家), ()은 비백(飛白), 특히 초서(草書)를 잘 써 초성(草聖)이라 일컬었다.

종장[宗丈] 집안 어른이라는 말이다.

종재번[種梓樊] 번중(樊重)은 후한(後漢) 때 사람으로 온후한 천성에 법도가 있었다. 기물(器物)을 만들기 위하여 가래나무와 옻나무를 심으니 사람들은 모두 비웃었으나 세월이 흐르자 그것을 이용하여 큰 부자가 되었다. <後漢書 樊重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