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목청[穆淸] 미덕(美德)으로 교화(敎化)를 이루는 것을 이른다.

목탁[木鐸] 승려가 독경이나 염불을 하거나 사람들을 모이게 할 때에 두드려 소리를 내도록 한 물건이다. 나무를 둥글넓적하게 깎아 속을 파내어 만들며 손잡이가 달려 있다. 세상 사람을 깨우쳐 인도할 만한 사람이나 기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중국에서는 불교가 전래되기 수 천년 전부터 목탁(木鐸)을 사용했다. 옛날에는 달력이 귀했으므로 백성들이 절기(節氣)에 따른 농사일을 알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통치자는 그때그때 해야 할 일을 백성들에게 알렸는데 이때 사용했던 것이 목탁(木鐸)이다. 그 일을 맡은 관리는 매년 봄만 되면 커다란 방울을 치면서 시내(市內)를 돌아다녔다. 그 소리를 듣고 사람이 모여 들면 봄이 왔으니 씨를 뿌려라고 알렸던 것이다. 그런데 그 방울 속의 혀가 나무로 돼 있었으므로 목탁(木鐸)이라고 했다. 물론 쇠로 된 것은 금탁(金鐸)이라고 했는데 주로 군대 내에서 명령을 하달할 때 사용하였다. 후에 불교가 전래되고 절기도 어느 정도 익숙해지면서 목탁(木鐸)은 사찰에서만 사용되었는데 이 역시 원래는 식사(食事)나 염불 시간 등 공지 사항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였다. 나중에는 백성들을 교화(敎化), 인도하는 자를 목탁(木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람이 공자(孔子)였다.

목탁이삼하환자[木鐸二三何患子] 논어(論語) 팔일(八佾)하늘이 장차 부자(夫子)로 목탁(木鐸)을 삼아 온 세상을 일깨워 주도록 할 터인데 여러분은 무엇을 걱정하느냐.”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