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신후다거상[薪後多居上] 섶나무는 뒤에 오는 자가 위에 쌓이는 것이니, 자기도 그 섶나무와 같아서 뒤에 오는 사람이 모두 상관으로 있고 자기는 밑에 있다는 말이다.

신후명[身後名] ()나라 장한(張翰)의 자()는 계응(季鷹)인데, 제왕(齊王)의 동조연(東曹椽)으로 있다가 가을바람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인생은 뜻에 쾌한 것이 제일인데 하필 수천 리 객지에서 이름과 벼슬을 구할 것이 무엇인가.”라 하고, 곧 돌아가서 술마시기를 즐기었다. 친구가 그에게 신후(身後)의 이름을 생각하지 않는가.”라고 하니, 그는 답하기를 안전 일배주(眼前一盃酒)를 즐길 뿐이다. 어찌 신후 천재명(身後千載名)을 생각하랴.”라고 하였다. 얼마 후에 제왕(齊王)이 패하니 사람들이 그가 기미를 알았다 하였다.

신후수위부귀진[身後誰爲富貴眞] 백거이(白居易)의 시에 귀인(貴人) 되어 높은 수레 으스대는 건, 아마도 진짜 부귀 못 될 듯싶네.[爲報高車蓋 恐非眞富貴]”라는 표현이 있다. <白樂天詩集 卷8 郡中卽事>

[] 모두.

실고보[失故步] () 나라 수릉(壽陵) 땅의 여자(餘子)가 조() 나라 서울 한단(邯鄲)에 가서 걸음걸이를 배우려다가 제대로 배우지도 못한 채 본래의 자기 걸음걸이마저 잊어버린 나머지 엉금엉금 기어올 수밖에 없었다는 한단학보(邯鄲學步)’의 이야기가 장자(莊子) 추수(秋水)에 실려 있다.

실록[失鹿] 임금이 나라를 잃은 것을 비유하였다. () 나라의 간신(奸臣) 조고(趙高)가 임금 앞에 사슴을 끌고 와서 말[]이라고 한 일이 있었으므로, 진나라가 망한 것을 사슴을 잃었다고 말하는 이가 있었다.

실리추구[實利追求] 현실적인 이익을 추구함을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