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삼모[三謨] 서경(書經)의 편명인 대우모(大禹謨고요모(皐陶謨익직(益稷)을 가리킨다.

삼모호사[參眸豪士] ()과 항우는 모두 눈에 동자가 둘이었다고 한다.

삼묘[三泖] 삼묘는 강소성(江蘇省)에 있는 묘수(泖水)를 상··하로 나누어 부르는 이름인데, 강남(江南) 사람들은 특히 여울이 없이 조용히 고여 있는 물을 묘()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삼묘씨[三苗氏] 장강(長江), 회수(淮水) 및 형주(荊州) 일대에 분포되어 살던 고대의 소수민족 이름. 오제본기(五帝本紀) 순임금 조에 삼묘씨가 삼위(三危)로 옮겨가 서융(西戎)이 되었다고 했다.

삼무오다[三無五多] 울릉도에는 도둑, 거지, 바퀴 달린 물건이 없고, , 바람, 오징어, 향나무, 미인이 많다는 말이다.

삼물교합[三物交合] 건축재료의 하나. 석회(石灰), 세사(細沙), 황토(黃土) 세 가지를 배합한 것인데, 주로 기초(基礎)를 다지는데 썼다.

삼박[三亳] 땅 이름. 황보밀(皇甫謐)의 설에 의하면, 삼박(三亳)은 곡숙(穀熟)인 남박(南亳), 즉 탕() 임금의 도읍지와 몽()이 북박(北亳) 즉 경박(景亳)으로 탕임금이 명()을 받은 곳과 언사(偃師) 즉 서박(西亳)으로 곧 반경(盤庚)이 도읍을 옮긴 곳이라 하였다.

삼반[三反] 사색이 깊은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술이(述而)한쪽 모서리를 들어보였을 때 그 나머지 세 모서리를 헤아리지 못하면 더 이상 말해주지 않는다.[擧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