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담하용이[談何容易] 무슨 일이든지 입으로 말하는 것은 쉽지만, 실제로 해보면 쉽지 않으므로 쉽게 입을 여는 짓은 삼가야 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동방삭(東邦朔)은 전한(前漢) 중엽 사람이다. 그는 정직하며 유머를 좋아했다. 무제(武帝)가 전국의 인재를 모집했을 때 고향의 염차(厭次)에서 수도 장안으로 나가 황제에게 글을 올렸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상시랑(常侍郞)으로 발탁되었다. 무제는 장안 근처에 황실 전용 사냥터 상림원(上林苑)’을 만들려고 하였다. 동방삭은 국고를 비게 하고, 백성의 생활 밑천을 빼앗는 짓이라며 반대했으나 무제는 듣지 않았다. 그는 부국강병책을 건의했지만 채택되지 않아 비유 선생론(非有先生論)’이라는 풍자문을 써서 간했다. 거기에는 비유선생과 오왕(吳王)이라는두 가공의 인물이 등장한다. 비유 선생은 오왕을 섬긴 지 3년이 되지만, 조금도 정견을 발표하지 않았다. 오왕이 어이가 없어서 뭔가 말을 해주시오라고 요망했지만, 선생은 여전히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았다. 오왕은 안달이 나서 말하였다. “말을 해 주시오. 무슨 말이든 듣겠소.” 비유 선생이 말하였다. “좋습니다. 입을 여는 것은 간단한 일입니다.” 그리고는 간언하다 죽은 충신의 이름을 나열하고는 또 거듭 말하였다. “입을 열기가 어찌 그리 쉬운 일이오[談何容易]”. 계속해서 알랑거려 중용된 인물, 임금이 포악했기 때문에 세상을 피한 인물의 이름을 들어 충신을 멀리하고 소인을 등용한 어리석음을 말하였다. 그리고 입을 열기가 어찌 쉬운 일이오.”라고 하였다. 또 현자가 명군을 만나 서로 도와 가며 나라를 일으키고 융성케 한 사례도 들어 군주로서의 마음가짐을 말했다. 이 말을 들은 오왕은 감동하여 이후부터 선생의 간언을 받아 들였다. 그리하여 정치를 개혁하고 오나라를 융성으로 이끌었다는 내용이다.<漢書 東邦朔傳>

담호호지 담인인지[談虎虎至 談人人至] 자리에 없는 사람의 말을 하면 공교롭게도 그 사람이 온다는 말이다.

담화[曇花] 불교 전설에 나오는 우담발화(優曇鉢花), 3천 년에 한 번 꽃이 핀다고 하는데, 이 꽃이 피면 금륜명왕(金輪明王)이 나와 태평 시대가 열린다고 한다.

담화[曇花] 사물이나 인물이 나타났다가 금방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 담화는 우담발화(優曇鉢華), 피었다가는 금방 지는 꽃이다.

담회[覃懷] 지명으로 중국 회주(懷州)의 옛 이름이다.

 

반응형